
ㅇ 금번 회의에는 김세훈 현대자동차 부사장,김형닫기

ㅇ ① BIG3 산업동향 및 분야별 정책추진 상황② BIG3 산업별 중점 추진과제 ②-1 친환경차 획기적 보급을 위한 핵심규제 혁파방안 ②-2 시스템반도체 분야 민간투자 실행 가속화 및 투자·보증 강화방안
②-3 K-의료 빅데이터 시리즈 한국형 K-Cancer(암) 통합 빅데이터 구축방안안건이 논의되었음
<홍남기 부총리 발언>
□ 지금부터 제5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를 시작하겠음
ㅇ 아침 일찍부터 회의에 참여해 주신김세훈 현대자동차 부사장님, 김형준 차세대지능형반도체 사업단장님,김법민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연구개발 사업단장님,우정원 제넥신 사장님 등 4분의 민간위원님들께 감사말씀 드림
□ 코로나19 이후 디지털·그린 경제로의 전환 가속화, 고령화에 따른 의료수요 증가 등으로 전 세계적으로 BIG3 산업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주요 선진국들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음
ㅇ 올해 2월 EU는 500억 유로 규모의 첨단 반도체 제조기술 구축 프로젝트(2.11, 블룸버그), 미국은 반도체산업 지원을 위한 행정명령 준비를 발표했고일본도 작년 12월, ‘30년대 중반까지 신차판매 100% 전기차 전환 목표를 발표하는 등 BIG3 시장 선점‧추격을 위한 국가적 경쟁이 본격화되는 모습
□ 우리나라도 제조업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대열에 합류, 치열한 경쟁중
ㅇ 작년 중 미래차 분야는 글로벌 판매 수소차 1위, 전기차 4위를 달성했고, 반도체 분야에서는 매출 1조원 팹리스 기업이 등장했으며,
바이오분야에서도 2년만에 매출 1조원 돌파기업이 2배 증가(‘18년 6개→’20년 12개)
ㅇ 특히 금년 들어 BIG3산업 수출은 40% 수준의 빠른 증가세*를 시현 중인 바, 향후 미래차 확산 속도(‘25년 신차중 51%), 폭증하는 시스템반도체 세계수요 등 산업구조 전환추세 감안시 차세대 유망산업분야 기대
* BIG3(시스템반도체, 미래차, 바이오헬스) 수출증가율 : (‘20) 26.6%, (’21.1) 36%, (2.1~20일) 43.7%
☞ 이에 정부는 BIG3 산업이 한국판뉴딜, 혁신성장전략 등과 시너지 효과를 내어 미래성장동력, 주력산업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BIG3 추진회의”를 중심으로 동 분야 재정세제, 금융지원, 규제혁파, 애로해소 등에 총력을 기울여 나갈 방침
<금일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 주요 논의>
□ 오늘 회의에서는
① 친환경차 획기적 보급을 위한 핵심규제 혁파방안,
② 시스템반도체 분야 민간투자 실행 가속화 및 투자·보증 강화방안,
③ K-의료 빅데이터 시리즈 한국형 K-Cancer(암) 통합 빅데이터 구축방안을 상정 논의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