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7일 '2021년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성장률이 -1.1%의 부진을 보인 뒤 내년엔 3% 이상 반등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0.5%에 그친 뒤 내년엔 1.1%로 확대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통관기준 수출은 올해 6.2% 감소한 뒤 내년엔 8.6%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경상수지 흑자는 올해 680억달러에 달한 뒤 내년엔 630억달러로 다소 축소될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는 "내년 우리 경제는 내수・수출이 동반 개선되면서 성장세가 반등하고 취업자가 증가로 전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취업자수는 올해 22만명 감소한 뒤 내년엔 15만명 증가로 전환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부는 "올해 과감한 정책대응을 통해 경제피해를 최소화한 데 이어 내년에는 주요 선진국 대비 빠른 속도로 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코로나 상황의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소비・고용의 개선 속도가 경기 회복세에 미치지 못하면서 민생의 어려움은 지속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디지털화 및 친환경・저탄소 경제 전환, 인구・가구・지역 등의 구조적 변화도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른 구조적 대전환 노력이 지체될 경우 글로벌 경쟁력 약화 및 잠재성장률 둔화도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정부는 경제회복과 선도형 경제로의 대전환을 위한 정책노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정부는 "당면한 코로나 위기의 온전한 극복을 위해 상반기중 확실한 경기반등 모멘텀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정책역량을 총집중할 것"이라며 "코로나 상황의 불확실성을 감안해 방역 안정을 전제로 전방위적 경제활력 제고 및 민생개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긴요하다"고 밝혔다.
우리 경제의 중장기 성장경로 자체를 한 단계 끌어올리기 위한 구조적 토대 공고화에도 속도를 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