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건형 연구원은 "연준의 장기물 채권 매입 확대 등 추가 통화정책 조치는 부재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하 연구원은 "백신 조기 보급과 추가 재정 부양책 협상이 진전되고 있어 경제 및 금융시장 하단을 뒷받침해 줄 통화정책의 필요성이 낮아졌다"면서 "오히려 경제 및 금융시장 환경이 개선된 만큼 조기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한 경계감이 상존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나 "자산매입과 관련된 포워드 가이던스 변화,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 연방기금 점도표 변화 등을 통해 조기 정책 정상화에 대한 경계감을 사전에 차단했다"고 밝혔다.
그는 "높아진 경기 개선 기대에도 보수적인 물가 전망과 코로나19와 관련된 경제 불확실성이 내년 상반기까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 등을 종합해보면 현재 통화완화 기조는 내년 상반기까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장기물 채권 매입 확대나 수익률제어곡선(YCC) 정책 도입 등 추가 정책이 부재한 이유는 아직까지 해당 정책이 제시될 만큼 장기물 금리가 올라오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하 연구원은 "해당 정책이 나오기 위해서는 추가 재정 부양책을 포함해 2021 예산안에서 확장재정이 구체화돼 국채 수급 부담과 경기 및 물가 상승 기대가 고조돼야 한다"면서 "당사는 바이든 대통령 취임과 함께 확장 재정에 대한 윤곽이 드러나면서 금리 상방 압력이 부상할 수 있다고 본다"고 소개했다.
그는 "장기 금리 상승 압력이 확대돼 재정 정책 부담이 커지는 경우 상기 언급된 정책이 후행적으로 도입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