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한 의료비 데이터를 제공해 반려동물의 건강한 삶을 추구한다’는 펫퍼민트의 취지를 담아 출시 1주년인 지난해에 이어 두번째 발표하는 것이다.
메리츠화재가 밝힌 통계에 따르면(2018년 10월 ~ 2020년 10월) 출시 이후 약 3만여 마리가 가입한 반려견의 가입 품종 순위는 1위였던 말티즈를 대신해 토이푸들이 가장 많았으며, 19년 4월 출시 이후 약 3000여 마리가 가입한 반려묘의 경우는 작년과 동일하게 코리안 숏헤어가 가장 많았다.
가입지역을 살펴보면 작년과 비슷하게 서울 및 수도권의 비중이 약 50%로 가장 높았고, 계약자의 연령대는 반려견의 경우 40대-30대-20대, 반려묘의 경우 30대-20대-40대 순으로 나타났다.
반려견의 보험금 지급건수는 위염/장염(1779건), 외이도염(1677건), 피부염(1437건), 이물섭식(1158건) 순이었다. 특히, 지난해에는 순위에 없던 슬개골 탈구 관련 보험금 지급건수가 817건으로 급격하게 증가했는데 이는 가입 1년 후부터 슬개골 및 고관절 질환에 대한 보장이 개시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보험금 지급액 또한 슬개골 탈구 관련이 약 5억5000만 원으로 가장 컸으며 이물섭식(2.3억), 위염/장염(2억), 앞다리 골절(1.3억)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형견 양육이 많은 우리나라에서 보호자들이 가장 걱정하는 질병인 슬개골 탈구의 발생률 및 발생액이 실제로도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려묘의 경우는 결막염(99건), 구토(74건), 위염/장염(72건), 피부염(62건), 심근증(54건) 순으로 보험금 지급 건수가 많았으며 지급액수는 위염/장염(1400만 원), 심근증(1200만 원), 구토(1000만 원) 순으로 나타났다.
반려견과 비교했을 때 반려묘는 심근증, 방광염 등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심장 및 비뇨기 관련 질환 비율이 상당히 높았다.
또한 메리츠화재는 출시 2주년을 맞아 가입자들의 자발적인 선의로 모인 기부특약 금액을 사단법인 동물자유연대에 전달할 예정이다. 기부특약이란 보험 가입자가 반려견을 동물보호관리시스템에 등록 시 할인 받는 보험료를 동물보호 관련 기관에 기부하는 특약이다.
1년 전 기부특약 출시 후 가입자는 103명에 이른다.
메리츠화재 펫퍼민트 관계자는 “메리츠 펫퍼민트는 국내 최초로 슬개골 탈구, 피부질환 등을 기본으로 보장하는 장기 펫보험으로써 국내 반려동물 보험 시장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며, “국내 최다 가입자를 보유한 상품의 통계이므로 신뢰도 및 시사점이 높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자세한 통계자료 및 반려동물 보험에 대한 정보는 펫퍼민트 홈페이지에서 확인가능하다.
오승혁 기자 osh040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