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중앙은행은 대내→대외 방향으로는 거주자의 해외투자 한도와 투자 가능한 금융상품을 확대하고 대외→대내 방향으로는 비거주의 태국 채권 투자시 투자등록 절차를 신설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태국 정책당국이 바트화 강세에 부담을 느끼고 있음을 확인해 준 것이다.
국금센터는 그러나 이런 조치가 바트화 강세 압력을 반전시키기엔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황유선·이상원 연구원은 "해외투자 한도 상향조정에도 불구하고 자산운용사의 환헤지 관행, 연기금ㆍ보 험사에 대한 별도 한도 적용 등을 감안하면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면서 "외국인 투자등록 절차 도입은 투자에 큰 장애가 되지 않으며 태국 채권이 여러 신흥국 채권지수에 편입돼 있는 만큼 견조한 수요가 유지될 것이란 전망도 제기된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바트 강세 압력이 당분간 지속되겠지만 주변국에 비해 경제회복이 더디고 자금유입 강도도 약해져 그 폭은 완만할 소지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태국은 미 재무부 환율보고서에서 심층분석대상국 지정 가능성이 높은 만큼 바트화 강세압력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지속적으로 강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