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금투는 '2021년 외환 및 금리 전망 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새로운 정치 지형도, 미국과 유로존의 통화정책, OPEC+의 감산합의에 대한 의문 등으로 인플레 환경은 기대하기 어렵다"면서 이같이 예상했다.
일말의 인플레이션을 위해선 달러 약세와 유가 상승이 필수적이지만, 미국 상황을 감안할 대 이런 환경을 조성하긴 어려울 것으로 봤다.
문홍철 연구원은 "코로나 위기를 겪으면서 세계 각국은 전례없는 대규모 재정부양책을 사용했다"면서 "이는 우리가 부채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생각을 느슨하게 바꾸었다"고 지적했다.
이런 관념은 위기 상황이기 때문에 반대 목소리가 나오지 못해서 생겨난 것이라고 풀이했다.
문 연구원은 "2021년 전세계가 서서히 코로나 충격에서 벗어나기 시작하면 각국은 지속불가능한 현재의 부채 수준에 큰 경각심을 가지게 될 것"이라며 "이는 재정을 건전화하거나 추가 악화를 막는 방향으로 노력하게 할 것이며 회복 속도를 저해해 인플레 압력을 낮출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대규모 재정지출과 국채 발행으로 각국은 부채의 화폐화에 나섰다"면서 "중앙은행은 국채를 순발행 이상으로 매입했다"고 밝혔다.
그는 "금리인하와 양적완화로 시장금리는 하향안정되는 흐름이었다"면서 "만약 정부가 재정 테이퍼링에 들어간다면 과거 중앙은행이 고군분투하는 세상으로의 복귀를 의미한다"고 밝혔다.
그는 "발행부담은 금리에 선반영돼 있는 반면 수급개선은 향후에 반영될 것"이라며 "더 많은 부채는 더 낮은 금리를 필요로 한다"고 밝혔다.
문 연구원은 "이는 자본(=부채)의 한계 생산성 저하, 디플레 상황에서 부채 추구 욕구, 정치공학적인 이자 부담 완화 필요성 때문"이라며 "그리고 그 결과 자본 단위당 성장의 저하는 더 심해진다"고 밝혔다.
그는 "과거 10년간의 실험을 통해 통화정책이 인플레이션을 불러오지 못한다는 것을 체득했고 결국 대규모 부채는 근본적인 잠재 성장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 채 불가피하게 저금리를 강제한다"고 덧붙였다.
■ 한은 국채 상시 매입 가능성
문 연구원은 "2021년에는 2~3달에 2~3조원 가량의 한은 국고채 단순매입이 정례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코로나 위기를 맞이해 한국은행도 다른 신흥국처럼 명실상부한 양적완화 정책을 사용했다"면서 "한은은 그동안 RP담보용, 즉 공개시장 조작용의 국채매입에만 나섰지만 올해는 그를 초월한 대규모의 국고채를 매입했다"고 밝혔다.
게다가 초반에 양적완화용 국고채 매입은 단기물에 머물렀지만 이후 점차 매입채권의 만기를 장기화했다고 밝혔다. 이는 선진국의 양적완화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뭐든지 처음이 힘든 법"이라며 "한은도 양적완화에 한발을 크게 걸쳐놓았기 때문에 더 이상 되돌아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향후 양적완화는 한은의 일상적인 통화정책의 일환이 될 것이며 정부 국채 발행을 상당부분 돕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부는 내년에 2년만기 국채를 월 1.2조원 수준으로 발행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문 연구원은 "한국도 정부채 발행이 늘어나면서 장기물 중심으로 시장에서 소화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면서 "이러한 부담을 일부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그동안 숙원이던 2년물 국채를 발행하겠다고 결정했다"고 지적했다.
아직 발행 규모는 정해지지 않았으나 과거 재정적자 규모와 단기물 발행량간에 높은 상관성이 있었음을 감안하면 규모를 추정해볼 수 있다고 했다.
문 연구원은 "당사가 모델을 바탕으로 추정해보면 재정적자 예상규모에 최적화된 3년물 이하 발행액은 월평균 0.9조~1.54조원(비경쟁 포함)"이라며 "이는 연간으로 12~18조원 가량인데 해당 규모의 10년물 이상 채권 발행이 줄어든다면 수급에 상당히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한국 역시 대규모 채권발행을 원활히 하기 위해 WGBI 편입을 추진할 것으로 관측했다.
그는 "WGBI편입시 한국 국채시장에는 18~24개월에 걸쳐 월 15~20억달러의 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다만 외국인 채권형 펀드 투자자에 대한 원천징수 면제 등의 세법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돼야 하는 정치적인 리스크가 있어 실제 편입이 가능할지는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