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유준 연구원은 "근소한 표차로 결과가 나온다면 바이든, 트럼프닫기

최 연구원은 그러나 "2000년 사례처럼 소송에서 주 정부 결정을 존중한다면 12월 초순에 대통령이 결정될 수 있다"고 밝혔다.
2000년 대선에서 고어 후보가 승복을 철회해 플로리다 주 재검표 논란이 한 달 넘게 지속된 바 있다. 개표 집계는 주 정부 권한이다.
최악의 경우 대법원에서 무효를 선언한다면 대통령 선출은 하원으로 넘어가는데 1주당 1표를 행사할 수 있어 트럼프에 유리하다(공화당 26개주, 민주당 23개주)고 풀이했다.
최 연구원은 "주식시장은 대체로 미국 대선 당일에 가까워질수록 약세를 보이다가 대선 이후 반등하는 추이를 나타낸다"면서 "이번에는 2000년처럼 예외 사례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2000년 대선에는 재검표 논란으로 KOSPI는 대선 당일 대비 9%까지 하락했다. 최악의 경우를 현재 KOSPI에 적용하면 2,063pt로 3월 저점 대비 상승분을 38.2% 되돌리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그는 "큰 표차로 결과가 나온다면 조정 폭이 크지 않을 수 있다. 대선이 주가에 일시 변수였다는 것을 고려하면 재차 추세를 회복할 수 있다"면서 "노이즈 기간이 길어지는 것은 불편하지만 저점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 11월 셋째 주까지도 불확실성 지속될 수 있어
미국 12개 경합주의 선거인단 수는 197명으로 전체 중 37%를 차지한다. ‘승자 독식 제도’로 트럼프는 선거인단 수가 많은 7개 주에서 승리한다면 재선에 성공할 수 있다.
최 연구원은 "경합주 내 바이든-트럼프 지지율 격차는 30일 전 대비 감소했다"면서 "펜실베니아(20) 6.3 → 4.1%p, 미네소타(10) 9.4 → 4.7%p, 오하이오(18)와 애리조나(11)는 동률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지지율 차가 1% 미만인 주의 선거인단 수 합은 89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여기에 추가로 3~5개주에서 반전이 일어난다면 트럼프가 재선에 성공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대선의 경우 누가 당선돼도 불확실성을 피할 수 없다고 풀이했다.
그는 트럼프가 당선되면 컨센서스와 달리 재정정책 기대감이 줄어들 수 있고, 바이든이 당선되면 트럼프의 불복 가능성으로 단기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대선 조기 투표에 9,200만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이 중 우편투표 참여 비중은 64%다.
최 연구원은 "우편투표 참여자 중 상당수가 민주당 지지자"라며 "선거일 이후에 도착한 우편도 유효한 주가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11월 셋째 주까지도 불확실성이 지속될 수 있다"고 밝혔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