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평가 결과는 ‘20.9월 컨퍼런스콜 협의 내용을 반영
(원문링크)https://www.fitchratings.com/research/sovereigns/fitch-affirms-korea-at-aa-outlook-stable-06-10-2020
※ 보도 편의를 위해서 Fitch 보도자료 주요내용을 일부 요약․정리한 것으로, 전체 내용이나 정확한 표현 등은 원문링크의 보도자료 원문을 참조해 주십시오.
1. 주요 내용
□ Fitch는 한국 신용등급(AA-)이 북한 관련 지정학적 위험과 고령화·완만한 성장에 따른 중기 도전과제 下에서 양호한 대외건전성, 지속적인 거시경제 성과, 재정 여력 등을 반영하고 있다고 평가
ㅇ 코로나19 확산이 경제성장과 재정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효과적인 코로나19 정책대응을 통해 주요 선진국 및 유사 등급(AA) 국가 대비 양호한 경제성장률 달성 전망*
* ’20년 성장률(Fitch 전망): (한국) △1.1%, (AA등급 중간값) △7.1%
ㅇ 다만, 고령화로 인한 지출압력 하에서 높은 부채수준은 재정에 위험요인이 될 수 있으며, 정부 투자지출의 생산성 등이 중요하다고 언급
□ 가계부채 상환능력과 은행 건전성은 현재 양호하나, 가계부채 규모의 증가로 취약성이 높아지고 있음
□ 대규모 순대외채권, 지속적 경상수지 흑자, 충분한 외환보유액 등 견조한 대외건전성이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에 대한 완충 역할을 제공
2. 평가 및 향후 대응
□ Fitch의 금번 국가신용등급 및 전망 유지 결정은 코로나19에 따른 세계경제 침체로 사상 최다 수준의 국가 신용등급 ․전망이 하향조정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 경제에 대한 대외신인도를 재확인한데 의의
ㅇ 금년 들어 국가신용등급 및 전망 하향조정 사례는 107개국, 총 211건*(’20.10.6일 기준)으로 역대 최다
* 신용등급 하향조정(신평3社, 건): (’20.1월~10.6일)211>(’16)172>(’11)166>(’08)144(↳ 참고3: 금년중 전세계 국가신용등급 동향)
ㅇ 특히, Fitch는 금년 들어 영국(AA→AA-(부정적), 3.27일), 캐나다(AAA→AA+(안정적), 6.24일)의 국가신용등급을 하향조정하고,
- 미국(AAA, 안정적→부정적, 7.31일), 일본(A, 안정적→부정적, 7.28일)의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하향조정한 바 있음
□ 정부는 앞으로도 컨퍼런스콜 등 비대면 수단을 활용하여 신평사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국가신용등급을 면밀히 관리해 나갈 계획
![[자료] 정부 "Fitch의 신용등급 유지결정은 한국경제에 대한 대외신인도 재확인 의의"](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0100713272604573d94729ce13175193134222.jpg&nmt=18)
![[자료] 정부 "Fitch의 신용등급 유지결정은 한국경제에 대한 대외신인도 재확인 의의"](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0100713274704201d94729ce13175193134222.jpg&nmt=18)

자료: 정부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