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2020년 2/4분기중 자금순환동향'에 따르면 2분기중 우리나라 경제활동의 결과로 발생한 순자금운용 규모는 0.8조원으로 전년동기(9.0조원) 대비 큰 폭으로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운용액은 기간 중 금융자산의 순취득액을, 자금조달액은 기간 중 금융부채의 순발생액을 뜻하는 것으로 '자금운용·조달 차액'은 자금운용액에서 자금조달액을 차감한 값으로 표시된다.
국내 경제부문별 자금운용·조달 차액을 살펴보면 가계 및 비영리단체는 긴급재난지원금 등 정부로부터의 이전소득에 따른 가계소득 증가, 신규주택투자 둔화, 코로나19로 인한 소비 위축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기대비 확대됐다.
전년도 2분기 24.0조원에서 올 2분기에는 64.0조원으로 확대된 것이다.
가계의 자금운용규모는 금융기관 예치금과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가 전년동기대비 큰 폭 확대됐으며 자금조달도 금융기관 차입 규모가 전년동기보다 확대됐다.
비금융법인기업의 경우엔 순자금조달 규모가 기업 수익 둔화, 운전자금 수요 확대, 설비투자 및 지식재산생산물투자 증가 등에 따라 전년동기대비 확대됐다.
자금운용 규모는 금융기관 예치금이 전년동기에 비해 확대됐으며 자금조달도 금융기관 차입과 직접금융을 통한 자금조달 규모가 전년동기에 비해 모두 확대됐다.
이로써 비금융법인기업의 순자금조달 규모는 29.1조원으로 전년동기(15.3조원)보다 확대됐다.
일반정부의 순자금조달 규모는 코로나19 대응에 따른 정부수입 둔화, 정부지출 및 경상이전지출 확대로 전년동기대비 확대됐다.
자금운용 규모는 금융기관 예치금과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에 대한 운용 규모가 전년동기보다 축소된 반면 자금조달은 국채 순발행(발행-상환) 규모가 전년동기보다 확대됐다.
순자금조달 규모는 37.9조원으로 전년동기(0.2조원)보다 확대됐다.

금융자산은 가계 및 비영리단체(+208.2조원), 비금융법인기업(+162.0조원), 일반정부(+80.6조원)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부채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45.1조원), 비금융법인기업(+76.7조원), 일반정부(+55.7조원) 모두 증가했다.
한편, 국내 비금융부문의 순금융자산은 2,984.5조원으로 전분기말보다 273.4조원 증가했으며 금융자산/금융부채 배율은 1.50배를 나타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금융자산은 2,244.9조원으로 전분기말보다 163.2조원 증가했으며 금융자산/금융부채 배율은 2.16배로 전분기말(2.10배)보다 상승했다.

이지훈 기자 jihunle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