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승훈 연구원은 "9월 고용, 8월 개인소득 지표를 통해 경기회복 모멘텀 약화 우려가 부각된 가운데 CoVID-19의 영향을 평가절하해 왔던 일부 정부, 여당 인식 변화가 가시화될 수 있다"면서 이같이 진단했다.
경제지표 모멘텀 약화와 트럼프 대통령의 감염이 수 주 내 부양 법안이 합의로 이끌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이 경우 그간 미국 대선 전까지 부양 합의 가능성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일부 기관, 투자자 견해 변화가 반영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또 트럼프 대통령의 CoVID-19 확진 판정이 대선 구도에 가져다 준 영향은 전체적으로는 중립적이지만, 향후 대선 일정의 불확실성을 키웠다는 점에서는 위험자산에 부정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그러나 트럼프가 건강상의 이유로 대통령 후보에서 사퇴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대선 일정 불확실성은 단기 이슈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풀이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