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결제원 측은 "스마트폰을 활용한 비대면 금융거래의 비중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대고객 서비스 및 시스템의 안전성에 초점을 맞춘 서비스 개선을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바이오정보의 위변조, 스마트폰 기종 별 이상 징후 발생 등 대상 기종의 인증을 바이오정보 공동인증시스템에서 일괄 차단하고 금융회사 앱 고객에게 인증 제한 관련 안내 팝업을 일괄 게시하는 기능이 새롭게 개발됐다.
스마트폰에서 발생 가능한 바이오인증 오류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스마트폰 바이오인증기술 관리 체계를 마련했다.
또 바이오정보 공동인증시스템 장애 시 기관별 인증 절차로 긴급 전환해 일시적으로 기관 자체 바이오인증을 통해 정상 로그인 처리가 가능한 세이프모듈을 개발해 장애 대응 체계를 완비했다.
바이오인증 거래량 폭증 시에도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내부 설비를 증설하고 네트워크 통신망을 확충해 시스템 성능을 강화했다.
금융결제원이 제공하고 있는 바이오인증 공동앱 외에도, 인앱 및 이용기관 맞춤형 인증 서비스(라이트모듈)를 새롭게 선보였다.
금융결제원 측은 "이번 모바일 바이오인증서비스의 혁신적 변화를 계기로 바이오인증을 본인확인 등 다양한 영역의 서비스로 확대해 금융회사, 핀테크 기업 등 다양한 이용기관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