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찬희 연구원은 "미국의 2차 내수 충격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는 시점에서의 고용이 중요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지난주 600만건을 웃돌며 무섭게 상승하는 실업수당 청구건수를 감안하면 실업률은 단기에 20% 내외까지 급등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국 정부는 4월 30일까지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을 확대하고 지침을 어길 경우 벌금형까지 부과한다. 강화된 통제 하에 고용 지표 악화는 기정사실화됐다.
김 연구원은 "3월 말 통과된 2.2조달러 부양책 중 절반은 고용 안정 및 가계 소득 보전에 쓰인다"고 지적했다.
정부의 적극적 가계 지원 의지와 이연수요 유입 기대는 내수 2차 충격을 제한할 수 있지만 연초까지 과열됐던 고용시장과 코로나19로 비자발적 구조조정을 경험한 고용주들의 비용 인식 변화 등에 빠른 회복을 장담할 수는 없다고 진단했다.
미국 3월 비농가취업자는 전월대비 70.1만명 감소해 컨센서스(-10만명)를 크게 하회했다. 직전 2개월 수치 또한 5.7만명 하향 조정됐다. 경제활동참가율은 1968년 이후 가장 큰 폭(0.7%p) 내린 62.7%로 후퇴했고, 실업률은 4.4%로 1975년 이후 가장 큰 폭(0.9%p) 상승했다.
김 연구원은 "코로나19로 인한 가계 영업중단과 학교 폐쇄 등으로 경제활동이 위축되고 단기 실업자가 급증한 영향으로 고용지표가 악화됐다"면서 "주간 평균 근로시간은 4개월 만에 33.4시간으로 줄었다"고 밝혔다.
숙박 및 음식서비스업 등 대면 활동 비중 높은 업종 중심으로 타격을 받았다.
그는 "정부 부문을 제외한 대부분 산업에서 코로나19 피해가 목도됐다"면서 "특히 대면 활동 비중이 높은 숙박 및 음식서비스업(-44.6만명)과 교육 및 보건서비스업(-7.6만명), 소매업종(-4.6만명) 취업자 감소세가 두드러졌다"고 평가했다.
제조업과 건설업도 각각 1.8만명, 2.9만명 줄었다. 시간당 평균 임금은 전월대비 0.4% 올라 양호했다. 제조업과 서비스업 공히 0.4% 상승했고 건설은 전월과 동일했다. 기업들이 임금 삭감보다는 일시적 감원으로 대응하면서 임금 영향은 제한됐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