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실 연구원은 "가변적 실효하한 금리에 근거하면 추가 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유지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연구원은 다만 "4월 연속적 인하 보다는 금리정책 이외 다른 유동성 공급 조치들이 나올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면서 "4월 인하에 대한 전제가 불편해 질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국고3년을 기준으로 하단이 0.6% 이하로 내려가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분석했다.
그는 "질병의 소강시점을 확신할 수 없지만 상황이 악화될 경우 중장기적으로 비전통적 통화정책 검토는 불가피하다"면서 "앞으로는 선별적 유동성 공급정책에 따른 채권시장 영향력을 점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회사채 시장의 자금경색이 심할 경우 금융위기 당시 등장했던 채권시장안정펀드 카드도 유효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