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닫기

유럽 1위 경제국인 독일 역시 대규모 재정부양 의지를 강조했고, 주요국 통화정책당국도 좀 더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중국 인민은행이 맞춤형 지급준비율(지준율) 인하에 나섰고 노르웨이와 캐나다는 긴급 금리인하를 단행했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985.00포인트(9.36%) 높아진 2만3,185.62를 기록했다. 스탠다드앤푸어스(S&P)500지수는 230.38포인트(9.29%) 오른 2,711.02를 나타냈다. 나스닥종합지수는 672.43포인트(9.34%) 상승한 7,874.23에 거래됐다.
주간으로는 다우지수가 10.4%, S&P500는 8.8%, 나스닥은 8.2% 각각 급락했다.
S&P500 11개가 일제히 강해졌다. 금융주가 13.2%, 정보기술주는 12% 급등했다. 커뮤니케이션서비스주는 9.2%, 에너지주는 8.8% 각각 올랐다.
개별종목 중 항공주 동반 강세 속에 유나이티드항공이 12.3%, 아메리칸항공은 6.4% 각각 뛰었다. 애플과 페이스북 역시 10% 이상씩 급등했다.
뉴욕주식시장 마감 무렵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13% 내린 65.70을 기록했다.
■뉴욕주식시장 주요 재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연방 정부의 모든 권한을 발동하기 위해 코로나19와 관련해 국가 비상사태를 공식 선포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바이러스와의 싸움에서 향후 8주가 관건"이라며 "우리는 경험에서 배울 수 있고 이 고비를 넘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미 전역에 응급운영센터를 설치하라”고 주문하며 “바이러스 진단검사에 속도를 내 다음주 초까지 최대 50 만명이 추가로 검사 받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유가 부양을 위해 에너지부에 전략비축유를 대량 매입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이 백악관과 의회가 코로나19 대응 법안 합의에 가까워졌다고 말했다. 그는 미 경제방송 CNBC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부양책 마련에 정부의 모든 노력을 다 할 것이며, 상·하원과도 협력할 것을 확약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또한 “유동성 투입을 위해 연준 및 의회와 함께 무엇이든 하겠다”고 강조했다.
연준은 “이날 30년물을 시작으로 총 370억 달러 규모 전구간 국채 매입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긴급 통화정책회의를 열고 정책금리를 50bp(1bp=0.01%p) 인하했다. 코로나 사태로 인한 위기 극복을 위해 이달 들어 총 100bp를 낮춘 셈이다. 노르웨이 중앙은행도 1.0%로 금리를 긴급 인하하고 “필요하면 추가 완화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스웨덴 중앙은행은 코로나19 피해 기업에 5000억 크로나 규모 특별융자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이날 앞서 중국 인민은행은 중소기업 대출 확대를 위해 16일부터 맞춤형 지준율 인하를 단행한다고 발표했다. 일부 조건이나 자격을 충족한 은행들을 대상으로 지준율을 50~100bp 낮춰줄 계획이다. 이를 통해 은행시스템에 총 5500억 위안 유동성이 풀린다. 일본은행도 예정에 없던 2000억 엔 규모 국채 매입 계획을 발표하고, 환매조건부채권(레포) 운영을 통해 5000억 엔을 투입했다.
장안나 기자 godbless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