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송철 연구원은 "국내외 KOSPI200을 패시브하게 추적하는 자금 규모는 70~80조원 수준으로 추정된다"면서 이같이 전망했다.
ETF 등 펀드는 실제 주식을 팔아야 할 필요가 적고, 연기금 패시브 운용자금의 비중 조절은 영향이 분산될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를 들었다.
3개월 평균 비중을 30%로 조정하는 CAP 비율을 적용하면 실제 삼성전자 비중은 30%가 아니라 30%보다 높은 수준으로 계산된다고 설명했다. 예컨대 33.3%에서 31.4%로 낮아진다는 것이다.
그는 "현재도 펀드자산의 30%를 넘는 부분에 대해 주식이 아닌 선물 등을 편입해 운용하고 있는 ETF, 펀드들은 CAP이 적용돼도 주식을 파는 게 아니라 보유 선물을 적용 시점에 맞춰 롤오버하지 않으면 된다"고 밝혔다.
이런 구도를 감안하면 실제 주식 매도는 별로 많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KOSPI200 추적자금 중 규모가 가장 큰 건 연기금이다.
강 연구원은 "KOSPI200을 벤치마크(BM)로 하는 연기금의 패시브 운용자금 규모는 작년 상반기를 기준으로 40조원을 넘는 수준"이라며 "단순히 감소하는 비중을 곱하면 7~8천억 가량 매도 물량이 계산되지만, 과거 경험을 참고하면 연기금 비중 조절은 적용 시점에 집중되기 보다 시기를 나눠 분산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그는 연초 이후 같은 주가 강세라면 충분히 소화 가능한 물량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KOSPI200내 특정종목 비중을 30%로 제한하는 시가총액비중 상한제도는 작년 6월 도입됐다. 매년 5월, 11월 마감 기준으로 직전 3개월간 KOSPI200내 비중 평균이 30% 초과할 경우 6월, 12월 동시만기일에 30% CAP을 적용한다. 최근 예정보다 빨리 수시적용이 고려된 이유는 연초 이후 삼성전자 주가가 강세를 보이면서 KOSPI200 비중 30%를 초과하는 상황이 계속되기 때문이다.
자본시장법에는 일반적인 펀드의 경우 개별종목 투자 비중을 10%로 제한하고, 펀드 자산의 일정 수준(50%) 이상을 여러 종목에 분산 투자하는 인덱스 펀드나 ETF는 개별종목에 대한 투자 비중을 30%로 제한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삼성전자의 KOSPI200 비중이 30%를 지속 상회하면서 (30%를 넘는 부분에 대해) 주식 대신 주식선물 등을 편입해 운용하는 데 따른 비용이 발생하고, 위의 법적인 측면도 부담이 될 수 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