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총재는 이날 국회 기재위 국감에서 국내경제 전망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국내경제는 수출과 설비투자가 부진한 가운데 소비 증가세도 다소 둔화됐다”며 “소비자물가는 수요측 상승압력이 약화된 가운데 지난해 농축수산물 가격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하면서 9월 상승률이 마이너스를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한두달 정도 0% 내외에 머물다가 연말경 반등해 내년 이후에는 1%대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대해서는 “대외 리스크의 전개에 따라 가격변수의 변동성이 수시로 확대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며 “다만 9월 들어서는 미·중 무역협상 진전 기대 등으로 글로벌 위험회피 심리가 일부 완화되면서 주가와 금리가 상승하고 원·달러 환율이 소폭 하락했다”고 전했다.
이 총재는 세계경제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고 진단했다. 그는 “미국은 소비를 중심으로 양호한 성장흐름을 유지하고 있으나 여타 선진국과 중국 등 신흥국은 세계 교역 위축에 따른 수출과 투자 부진으로 성장세가 약화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당분간 이러한 둔화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그 정도는 미·중 무역협상과 그에 따른 중국 경기흐름에 크게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관측했다.
이 총재는 이러한 국내외 경제상황 하에서 한은은 경기 회복을 뒷받침하는 방향으로 통화신용정책을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대외 여건 악화에 따른 거시경제의 하방리스크 증대에 대응해 지난 7월 기준금리를 연 1.75%에서 1.50%로 0.25%포인트 인하했다”며 “아울러 설비투자와 수출을 촉진하고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금융중개지원대출을 5조원 확대했다”고 언급했다.
이어 “앞으로 통화신용정책은 성장세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완화기조를 유지하되, 완화정도의 추가 조정 여부는 거시경제와 금융안정 상황의 변화를 면밀히 점검하면서 판단해 나갈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