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시간 오후 3시59분, 달러인덱스(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는 99.12로 전장보다 0.26% 낮아졌다. 초반 99.66까지 올랐다가, 예상을 밑돈 제조업 지표로 미국채 수익률이 수직낙하하자 급히 하락세로 반전했다.
미 제조업 지수 쇼크에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는 이달 말 연준 금리인하 확률을 대폭 높였다. 오는 30일 25bp(1bp=0.01%p) 인하가 이뤄질 확률을 전일 40%에서 63%로 높여 가격에 반영했다.
달러화 약세 반작용에 유로화는 강해졌다. 유로/달러는 1.0938달러로 0.34% 높아졌다. 파운드화도 달러화보다 조금 강했다. 파운드/달러는 1.2305달러로 0.08% 상승했다. 유럽연합(EU)이 아일랜드 백스톱 시한을 정하는 방식으로 영국에 양보하는 방안을 논의했다는 블룸버그 보도가 파운드화 강세 재료로 작용했다.
달러/엔은 0.36% 내린 107.69엔에 거래됐다. 일본 공적연금의 해외채권 투자 확대 보도에 올랐다가, 제조업 지표 악화로 뉴욕주가가 급락하자 밑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달러/스위스프랑도 0.5% 하락했다.
위험자산인 중국 위안화는 달러화보다 더 약했다. 달러/위안 역외환율은 0.06% 오른 7.1457위안을 기록했다.
중국 경제에 대한 글로벌 금융시장 시각을 보여주는 호주달러화도 달러화보다 약했다. 0.7% 약세를 나타냈다. 이날 호주중앙은행은 성장세 지속을 위해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인 0.75%로 25bp 인하했다.
같은 시각, 뉴욕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달러/원 1개월 포워드는 1,202.50원을 나타냈다. 이에 앞서 서울 외환시장에서는 전 거래일보다 2.80원 오른 1,199.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위험회피 모드 속에 여타 이머징 통화들은 달러화 대비 일제히 약해졌다. 터키 리라화와 남아공 랜드화 환율이 1.2%씩 올랐다. 러시아 루블화 환율은 0.7%, 멕시코 페소화 환율은 0.5% 각각 상승했다. 아르헨티나 페소화와 브라질 헤알화 환율은 0.1%씩 높아졌다.
■글로벌 외환시장 주요 재료
뉴욕주식시장 3대 지수가 1.3% 미만으로 동반 하락했다. 미 지난달 제조업 지수 쇼크가 경제성장 둔화 우려를 자극하며 지수들을 끌어내렸다. 미 ISM이 집계한 미 제조업 PMI가 10여년 만에 최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43.79포인트(1.28%) 하락한 2만6,573.04를 기록했다. 스탠다드앤푸어스(S&P)500지수는 36.49포인트(1.23%) 낮아진 2,940.25를 나타냈다. 두 지수는 6주 만에 최악의 날을 기록했다. 나스닥종합지수는 90.65포인트(1.13%) 하락한 7,908.68에 거래됐다.
뉴욕채권시장에서 미국채 수익률이 일제히 하락했다. 미국채 벤치마크인 10년 수익률은 1.64%대로 내려섰다. 미 제조업 침체 심화로 연준 금리인하 기대가 커진 영향을 받았다. 단기물 수익률 낙폭이 한층 커지면서 10~2년물 수익률곡선은 좀 더 가팔라졌다. 오후 3시59분, 10년물 수익률은 전장 대비 2.4bp 내린 1.643%를 기록했다. 초반 일본 10년물 국채수익률 급등을 따라 1.75%대로까지 올랐다가 방향을 바꿨다. 금리정책 전망을 반영하는 2년물 수익률은 6.8bp 하락한 1.548%에 호가됐다. 물가전망 및 유가변동에 민감한 30년물 수익률은 1.1bp 낮아진 2.101%를 나타냈다. 5년물 수익률은 1.494%로 5.7bp 내렸다.
도널트 트럼프닫기

장안나 기자 godbless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