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차관은 이날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열고 최근 물가흐름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날 회의는 한국은행 부총재,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국제금융센터 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최근 물가 동향 등 경제·금융시장 여건과 대내외 리스크를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통계청은 9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05.2(2015년=100)로 1년 전보다 0.4% 하락했다고 이날 발표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 8월 전년 동월 대비 0.038% 하락해 사실상 마이너스를 가리켰으나 소수점 한 자릿수까지만 따지는 공식 상승률은 0.0% 보합에 그쳤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 대비 하락한 것은 1965년 전도시 소비자물가지수 통계 작성 이래 사상 처음이다.
김 차관은 최근 금융시장에 대해 “미중협상 재개, 사우디의 조속한 석유시설 복구일정 발표, 미 연준의 금리인하 등으로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되며 8월에 비해 안정세를 보이는 모습”이라면서도 “그러나 미중 고위급협상과 트럼프닫기

우리나라 실물경제에 대해서는 대외여건 악화의 여파로 인해 성장경로상의 하방리스크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2017년 말~2018년 초를 기점으로 글로벌 교역과 제조업 경기가 본격적인 둔화국면에 접어들었고 글로벌 통상마찰까지 심화·중첩되면서 수출과 투자를 중심으로 어려움이 계속되고 있는 모습”이라며 “그러나 고용지표가 뚜렷한 회복세를 나타내는 가운데 8월 산업활동에서도 생산·소비·투자 등 지표가 모두 증가세를 보인 점은 긍정적인 부분”이라고 밝혔다.
김 차관은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마이너스를 보인 것은 작년 물가가 8월에 1.4%에서 9월에 2.1%로 높게 상승했었던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하면서 일시적으로 나타난 측면이 강하다”고 강조했다.
김 차관은 농산물·석유류 가격 하락 등 공급측 요인이 물가상승률 하락에 기여하는 효과가 8월에 –9.77%포인트, 9월에는 –1.01%포인트로 확대됐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농산물과 석유류 가격이 예년(과거 4년 평균) 수준의 상승률을 기록했다면 9월 물가상승률은 1% 수준이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김 차관은 “최근 물가상승률은 작년 높았던 기저효과로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하는 전년 동월 대비로는 하락세이나 직전 월과 비교하는 전월비로는 8월 0.2%, 9월 0.4%로 상승하는 추세”라며 “또한 디플레이션은 일반적으로 물가하락에 따른 소비지연과 함께 나타나지만, 소비판매지수는 꾸준한 증가세를 지속하면서 8월에는 3.9%로 크게 증가한 바 있으며 소비자심리지수도 9월 96.9로 전월대비 4.4포인트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어 “역사적으로 디플레이션을 경험한 미국 대공황과 일본의 과거사례를 보면 물가수준의 하락이 3~7년 장기간 지속됐지만 우리의 경우에는 공급측 충격에 의한 2~3개월 단기간에 걸친 물가하락이 예상된다”며 디플레이션 우려에 재차 선을 그었다.
김 차관은 또 “최근 글로벌화, 기술발전, 유통혁신 등으로 전세계적으로 물가상승률이 둔화되는 현상이 구조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유가급락에 따른 공급측 충격 등으로 2~3분기 단기간 물가가 하락하는 현상도 90년대 이후 주요 41개국에서 356회 발생하는 등 국제적으로도 일시적 물가하락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고 언급했다.
최근 몇 달간의 물가 흐름이 디플레이션의 징후는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는 설명이다.
정부는 작년 9월 2.1%, 10월 2.0%, 11월 2.0% 등 높았던 물가의 기저효과와 낮은 농산물 가격 등 공급측 영향이 지속되면서 당분간 물가상승률이 0% 내외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기저효과가 완화되는 연말부터는 0% 중후반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김 차관은 “최근 세계경제 성장둔화와 함께 대외적 요인 등으로 우리경제의 경제활력이 둔화된 만큼 한국은행과 함께 세계적인 물가흐름, 구조적 물가둔화 원인 등 물가동향을 면밀하게 점검하겠다”며 “재정지출 확대 등 확장적 거시정책을 지속하고 수출, 투자 및 소비 활성화 대책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우리경제의 활력제고에 정책 역량을 집중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