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시장 관계자들은 시장금리가 국채 물량 부담을 선반영한 점, 대외경기 불확실성, 세수증가분을 0으로 반영해 실제 물량 증가분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점 등을 근거로 들면서 국고채 물량 증가에 따른 수급상 악재는 영향력이 제한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그들은 내년 국고채 발행량 증가가 채권시장에 좋은 영향을 끼치지는 않을 것이라는데는 공감된 입장을 밝혔지만, 여러가지 요인을 고려할 경우 국고채 물량 증가로 시장이 큰 영향을 받지는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정부가 밝힌 내년 국고채 발행규모는 130.6조원이다. 이는 올해 예정액 101.6조원보다 29.3조원이 늘어나는 것이다. 단순히 12개월로 나눠 계산하면 월별 국채 발행액이 올해보다 2~3조원 늘어날 수 있다.
기존 발행물량 상환분이 59.3조원, 순증액이 71.3조원이다. 적자국채는 60.2조원으로 올해 33.8조원에서 두 배 가량 대폭 늘어난다.
채권시장 관계자들은 내년 국채발행 물량이 증가하는 것이 수급상 악재가 될 수는 있지만 시간적 여유가 충분하고 실제 발행 물량은 줄어들 여지가 충분해 금리시장 영향력은 제한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들은 이미 홍남기닫기

A증권사 한 관계자는 "경기부양을 위한 적자재정, 그리고 국고채 발행 물량 증가 등 예산안 부담은 근래에 시장에 선반영된 측면이 있다. 그리고 아직 시간 여유가 충분한 사안"이라며 "물론 신규 물량이 증가하는 것은 채권시장에 부담이 될 것이다. 하지만 글로벌리 롱장이 이어지면 공급량 증가에 따른 수급상 악재는 영향력이 제한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물론 미중 무역전쟁, 한일관계, 북미협상 등 다양한 대외변수가 현 추세와는 다르게 전환되면 , 국고채 물량 부담에 따른 수급 문제도 채권시장에 상당한 부담을 줄 수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B증권사 한 딜러는 "최근 금리 급반등 추세에서 국고채 물량 증가라는 악재가 선반영됐다고 생각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며 "다만 국고채 물량 증가 소식은 MBS 발행증가와 더불어 채권 강세폭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C증권사 한 딜러는 "내년 국고채 발행 물량이 증가하면 기본적으로는 당연히 수급상 부담요인이 될 것으로 본다"며 "다만 시장에서는 이 재료를 이미 일정 부분 선반영하고 있다. 또한 증가 규모가 예상보다 더 크지 않은 수준으로 보이면서 시장은 이날 전해진 국고채 물량 증가 소식을 악재로 반영하지 않는 듯 하다"고 말했다.
D증권사 한 관계자는 "우선 국고채 발행계획, 안심전환 대출 관련한 MBS 발행 재료 등은 시장에 전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실제 발행될 경우 경제여건에 따라 발행물이 소화가 잘될지가 장내 분위기를 가르는 관건일 것 같다. 현재로서는 신규 채권 발행 관련한 재료가 시장에서는 이미 소화가 거의 다 된 것 같다"고 밝혔다.
예산안 발표에서 세수 증가를 0으로 가정하는 등 보수적인 입장으로 예산안이 짜여져 있기 때문에 실제 국고채 발행 물량은 계획보다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수급상 악재로 인식하기 어려운 점이란 관측이 제기됐다.
E증권사 한 딜러는 "내년 예산안 발표에서 세수 증가를 0으로 가정했다. 현 증세 기조를 감안하면 내년 국고채 발행 계획 규모대비 실제 발행량은 그만큼 안될 가능성이 높다"며 "예상보다 국고채 발행량이 줄어든다고 하면 국채시장에는 별 영향력이 없다고 보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F증권사 한 관계자는 "일단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한다. 예정안 그대로 확정이 될 수 있을까 싶다"면서 "적자국채 산정하면서 세수 증가율을 0으로 가정한 것은 정부가 내년 성장률에 극도로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 부분에 더욱 의미를 부여해야할 것 같다"고 말했다.
G은행 한 딜러는 "전체적인 물량이 늘어날 것으로 발표됐지만 일단 국회에서 통과되는 것을 봐야 한다"면서 "예산이 작년 9%대에서 올해 또 9%대로 늘어나니 적자국채 뿐만 아니라 롤오버 국채까지 늘어난다. 어떤 이는 실제 10조원 안쪽으로 늘 것이고 30조원이 늘지는 않을 것이라고 한다"며 "어쨌든 발행이 늘어나는 것은 어쩔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시장에 큰 임팩트가 없을 수도 있지만 시장 듀레이션이 늘어난다는 차원에서 커브 스티프닝을 견인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이번 발표는 다른 관점에서 보면 경제에 대한 정부의 시각이 좋지 않다는 측면도 드러낸 것이다. 한일 갈등 등 추이도 봐야하고 일단 시장 금리가 큰폭으로 오르긴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나라를 살리겠다고 하는 현정부 재정정책이 무분별한 빚잔치로 변모해, 우리나라 미래에 암운을 드리울 수 있다는 걱정 가득한 의견도 나왔다.
H운용사 한 매니저는 "정부가 빚 잔치를 벌이려는 듯하다. 미래 아이들이 떠안을 빚으로 나라 미래를 망치는 정책을 펴려는 것이 아닌지 모르겠다"며 "아무튼 정부가 말하는 수치가 현실화돼 내년 월 2~3조원씩 늘어난다고 하면 시장 수급엔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일단 내년 일이고 하니 상황을 더 봐야 할 것같다. 또한 경기부양을 위해 정부가 더욱 적극적인 완화 재정정책을 들고 나왔다"며 "이런 상황이면 폴리시믹스도 기대할 수 밖에 없다. 금리 인하 기대감만 더 커질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 채권 분석가들 "물량 증가 부담, 실제 발행 미달 가능성 높아..수요 구조변화가 더욱 변수"
채권시장 분석가들은 내년 국고채 발행 예상 규모가 수치로만 보면 수급상 부담 요인이라는데 공감했다.
다만 세수 증가를 0으로 가정한 점과 장내 국고채 발행량 증가 선반영 부분 등을 고려하면 영향력이 제한될 것이라는 의견, 공급보다는 수요쪽 구조변화가 어떻게 될지 등이 채권시장내 더욱 큰 변수라는 의견 등이 제기됐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국채발행 규모가 증가하는 것은 일단 총발행 규모만 30조원 증가하는 것이다. 수치로만 보면 엄청 증가하는 것이다"며 "장기적으로 수급 부담이 분명하게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문홍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정부가 말하는 적자국채 60조원은 올해 대비 2배에 달하는 수준이며 예상에 비해 크게 많은 수준"이라며 "총발행 130조원은 증세 흐름과 명목 성장을 고려할 때 실제 발행은 이에 미달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그는 "추정치와 실제치가 크게 차이나는 데는 정부가 세수 증가를 0으로 가정했기 때문이다. 올해 명목 성장률이 내년 세수 증가율임을 고려하면 지나치게 보수적"이라며 "부총리 적자국채 발언으로 금리엔 이런 내용이 일정부분 선반영돼 있다. 수급 상황을 고려할 때 큰 폭의 채권 약세 요인이라고 보긴 어렵다"고 덧붙였다.
수급 가운데 공급에만 시장 초점이 맞춰져 있은데 더욱 중요한 것은 장투기관, 외국인 등 수급 구조가 내년 채권시장에서 어떤 식의 변화를 나타낼지 하는 점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이재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물량 공급 관련한 이슈보다는 수요쪽 구조변화가 채권시장에 더욱 영향을 키웠던 부분이 있다"며 "올해 장투기관들의 채권 잔고 확대 둔화세와 외국인 수요 확장 등이 특징적인 부분이었다. 이러한 수요구조가 어떤 식으로 변화할 지 여부가 국고채 발행 물량 증가보다 장내 더욱 큰 변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당연한 얘기지만 주체별로 매매 동향은 대체로 현 추세가 유지되는 식으로 흐르면서, 대내외 환경이 어떻게 변할지에 따라서 매매패턴을 변화해 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경목 기자 kkm341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