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 현대해상
현대해상은 여름철 교통사고의 주요 원인인 빗길 미끄럼 사고 및 차량 침수사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1일 발표했다.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는 지난해 여름철(6월~8월) 동안 발생한 교통사고 23만건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비 내리는 날의 교통사고 발생 빈도가 비가 내리지 않은 날에 비해 1.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 내리는 날 야간(20시~5시)의 교통사고 위험도는 평소 야간 대비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천 시 빗길 미끄럼 사고는 비가 오지 않을 때보다 1.7배 높았고, 고속도로에서는 2.4배까지 증가했다. 빗길 미끄럼 사고의 치사율은 일반 교통사고 대비 3.1배, 중상자 발생률은 1.8배 높았다.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 김태호 박사는 "빗길에서 과속 운전 시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 수막현상이 발생하여 미끄럼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면서 "빗길 운전 시에는 제한 속도보다 20% 이상 속도를 줄이고, 차간거리는 평소 대비 1.5배 이상 유지하며, 제동 시에는 브레이크를 여러 번 나누어 밟는 것이 안전하다"고 말했다. 이어 "장마철에는 타이어 상태를 수시점검하고 마모된 경우에는 미리 교체하는 것이 중요하며, 공기압을 10% 정도 올려주면 노면과의 마찰력이 높아져 수막현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소가 2012년부터 2018년까지 7년 동안 서울에서 발생한 차량침수사고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차량 침수사고는 강수량이 35㎜ 이상인 폭우가 쏟아질 때가 그 이하일 때보다 41.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차량 침수사고는 서울시내에서 전반적으로 지대가 낮은 강남, 서초구에서 46.0%가발생했으며,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시간대는 퇴근 직후(20~22시)에 15.3%, 출근 직전(6~8시)에 12.5%로 나타나 폭우가 예상되는 경우 주차 위치도 적절하게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선희 기자 ys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