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독신청
  • My스크랩
  • 지면신문
FNTIMES 대한민국 최고 금융 경제지
ad

[뉴욕-외환]엔, 달러에 1.1% 강세…트럼프발 리스크오프 확산

장안나

기사입력 : 2019-06-03 06:20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한국금융신문 장안나 기자] 지난달 31일(이하 현지시간) 뉴욕외환시장에서 안전자산인 엔화 가치가 미국 달러화보다 1% 넘게 뛰었다. 도널드 트럼프닫기트럼프기사 모아보기 미 대통령이 불법 이민자 유입을 막기 위해 멕시코에 수입관세 부과를 위협한 여파다.

오후 3시55분, 달러인덱스(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는 97.75로 전장보다 0.4% 떨어졌다. 트럼프의 멕시코 관세 위협과 연방준비제도 금리인하 기대로 미국채 수익률이 급락하자 따라 움직였다. 엔화 가치가 급등한 점도 달러화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달러화가 약해지면서 유로화는 강해졌다. 유로/달러는 1.1172달러로 0.37% 높아졌다. 파운드/달러도 1.2642달러로 0.27% 상승했다.

트럼프발 위험회피 모드 속에 안전자산인 엔화 가치는 달러화 대비 급등했다. 달러/엔은 108.38엔으로 1.13% 급락했다. 스위스프랑화도 달러화보다 0.6% 강세를 나타냈다.

미국과의 무역분쟁이 지속하면서 중국 위안화는 달러화보다 좀 더 약했다. 달러/위안 역외환율은 6.9337위안으로 0.07% 높아졌다. 반면 호주달러화는 달러화 대비 0.4% 강해졌다.

달러화 하락과 유가 급락이 맞물리면서 이머징 통화들은 달러화 대비 방향이 엇갈렸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위협에 멕시코 페소화 환율이 2.4% 급등했다(가치 급락). 아르헨티나 페소화 및 러시아 루블화 환율은 각각 0.5% 및 0.4% 높아졌다. 반면 브라질 헤알화 환율은 1.5% 급락했고 남아공 랜드화 환율은 1.2% 떨어졌다. 터키 리라화 환율은 0.9% 하락했다.

■글로벌 외환시장 주요 재료
뉴욕주식시장 3대 지수가 1.5% 이하로 동반 하락했다. 하루 만에 반락했다. 미중 무역분쟁이 격화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에 관세부과를 위협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투자자들은 잇단 무역충돌로 미 경기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을 우려하는 모습이었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54.84포인트(1.41%) 급락한 2만4815.04에 거래를 끝냈다.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 관세를 오는 10월까지 최대 25%로 올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멕시코에 중미 이민자 유입을 막기 위한 추가 조치를 취하도록 압박한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성명에서 “멕시코가 미국을 제대로 대해주지 않았다”며 멕시코를 거쳐 미국으로 들어오는 불법 이민자 유입을 막는 데 충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비난했다. 그는 “오는 10일부터 모든 멕시코산 제품에 5% 수입관세를 부과하겠다”며 “위기가 지속할 경우 7월 1일 10%로 관세를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멕시코가 불법 이민자 단속에 적극 나서지 않는다면 매달 5%씩 추가로 올려 오는 10월까지 최대 25%까지로 조정하겠다”고 덧붙였다.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트럼프 대통령의 멕시코 관세 인상 방침에 반대하는 입장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추가 멕시코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 비준이 위태로워질 것으로 라이트하이저 대표가 본다는 것이다.

중국 5월 제조업 경기가 석 달 만에 위축 국면으로 진입했다. 위축 속도도 지난 2월 이후 가장 빠른 수준으로, 시장 예상보다도 좀 더 빨랐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5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9.4로, 전월 50.1보다 0.7포인트 하락했다고 밝혔다. 전문가 예상치 49.9를 하회하는 수치이자 지난 2월(49.2) 이후 최저치다. 같은 달 비제조업 PMI는 예상대로 전월 기록을 유지했다. 54.3으로 집계됐다.

중국이 미국의 화웨이 등에 대한 거래제한 조치에 맞서 사실상 '블랙리스트'를 작성할 방침이다. 가오펑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중국은 앞으로 '신뢰할 수 없는 실체 명단' 제도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이 명단은 비상업적 목적으로 중국 기업들을 상대로 봉쇄 및 공급 중단 조치를 하거나 중국 기업의 정당한 권익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외국기업·조직·개인을 대상으로 한다.
중국이 미국산 수입품에 최대 25%의 추가관세를 발동했다. 중국은 한국시간 1일 오전 1시를 기점으로 600억 달러 규모 미국산 수입품에 최대 25%의 추가관세를 적용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과 더 이상 무역협상을 진전할 수 없다며 지난 5월 2000억 달러 규모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25%로 올린 데 대한 보복조치다. 미국도 이에 맞서 나머지 3000억 달러 규모 중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 거의 전제품에 관세를 매길 계획이다.

지난 4월 미국인 소비 증가폭이 예상보다 컸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4월 개인소비지출(PCE)은 전월대비 0.3%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0.2% 늘었을 것으로 예상했다. 3월 증가율은 0.9%에서 1.1%로 상향 수정됐다. 4월 개인소득(세후 기준)은 전월대비 0.5% 늘며 예상치 0.3%를 상회했다. 지난해 12월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PCE 가격지수는 전월대비 0.3%, 전년대비 1.5% 각각 올랐다. 근원 물가는 전월대비 0.2%, 전년대비 1.6% 상승해 예상에 부합했다. 3월에는 전월대비 0.1%, 전년대비 1.5% 각각 오른 바 있다.

5월 미 중서부 지방 제조업 활동이 소폭 강해졌다. 공급관리협회(ISM)-시카고에 따르면 5월 시카고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전월 52.6에서 54.2로 상승했다. 예상치인 53.0보다 높은 수준이다.

5월 미 소비심리가 당초 집계된 수준보다 더 약한 것으로 최종 집계됐다. 미시간대에 따르면 5월 소비자심리지수 최종치는 100.0으로, 전월 확정치인 97.2에서 올랐다. 다만 예상치 101.0은 물론, 잠정치 102.4는 밑도는 수치다.

장안나 기자 godblessan@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FNTIMES -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오늘의 뉴스

ad
ad
ad

한국금융 포럼 사이버관

더보기

FT카드뉴스

더보기
[카드뉴스] KT&G, 제조 부문 명장 선발, 기술 리더 중심 본원적 경쟁력 강화
[카드뉴스] KT&G ‘Global Jr. Committee’, 조직문화 혁신 방안 제언
대내외에서 ESG 경영 성과를 인정받은 KT&G
국어문화원연합회, 578돌 한글날 맞이 '재미있는 우리말 가게 이름 찾기' 공모전 열어
[카드뉴스] 국립생태원과 함께 환경보호 활동 강화하는 KT&G

FT도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