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은 31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금통위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행 연 1.75%로 동결했다.
이주열닫기

이날 금통위 내부에서는 대표적인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로 꼽히는 조동철 금통위원이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필요가 있다는 소수의견을 제시했다. 한은이 금리인상을 결정한 지난 11월 금통위 당시 조 위원은 신인석 위원과 함께 금리동결 소수의견을 낸 바 있다.
또 조 위원은 이달 초 기자간담회에서 “이제는 우리도 장기간에 걸쳐 목표 수준을 큰 폭으로 하회하고 있는 지나치게 낮은 인플레이션을 우려해야 할 시점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번 금리인하 소수의견은 한은이 머지않아 금리를 내릴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한은은 지난해 11월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1.75%로 0.25%포인트 인상한 이후 지금까지 금리를 동결해왔다.
이 가운데 국내외 경기둔화 우려와 1분기 마이너스 성장 충격 등 부진한 경제지표는 금리인하 주장에 힘을 싣고 있다.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국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2.6%에서 2.4%로 하향 조정했다. KDI는 단기적으로는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을 확장적 기조로 운영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제언했다.
여기에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된 점도 금리인하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1분기 가계신용 잔액은 전분기보다 0.2% 늘어 2013년 1분기 이후 6년 만에 최소 증가 폭을 보였다.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증가율은 4.9%로 2016년 4분기 이후 9분기 연속 둔화세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이 총재는 현재는 기준금리 인하를 검토할 상황이 아니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이 총재는 이날 질의응답을 통해 “1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 나타냈고, 조금 낙관했던 미·중 무역분쟁이 악화되는 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이에 대한 우려로 금리인하 기대가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그렇지만 거시경제와 금융안정 상황을 종합해서 보면 지금은 기준금리 인하로 대응할 상황은 아직은 아니라고 본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거시경제 측면에서 보면 1분기 성장률은 부진했으나 앞으로는 수출과 투자의 부진 정도가 완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정책에 힘입어 성장흐름도 회복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 총재는 “낮은 물가 오름세는 공급요인이 정부 복지정책 영향이 크기 때문에 통화정책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지만 하반기로 가면서 높아질 것”이라며 “수요 측면에서 물가상승 압력이 낮은 것은 사실이나 일각에서 우려하듯 디플레이션 등의 우려는 과도하다고 본다”고 부연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