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건형 이코노미스트는 "양호한 경제 및 금융시장 환경은 트럼프 정부의 주요 원동력"이라며 이같이 내다봤다.
그는 "CNN에 따르면 트럼프 경제 분야 지지율은 56%인데 이를 제외한 모든 분야의 지지율이 50%를 밑돈다"면서 "역사적으로 경제는 선거에 있어 결정 요소였다"고 지적했다.
그는 "실업률과 핵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합한 고통지수가 선거 직전 상승할 경우 집권 정당은 교체됐다"면서 "호황에 위치한 미국이라도 무역 분쟁이 심화될 경우 실업률과 물가 모두 올라가는 가능성은 농후하다. 선거를 위해서라도 무역 협상을 1차적으로 봉합할 필요가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이 지난해 중국을 향해 공세적인 태도를 보였던 반면 금년에는 속도 조절에 들어선 이유 역시 경기 상황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지난해에는 대외 불확실성에도 미국은 감세안, 확장적 재정지출 등 재정효과에 기반해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갔으나 올해는 상황이 다른 만큼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조율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 이코노미스트는 "전년동기대비 기준으로 미국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하반기 평균 3%를 달성했으며, 금년 1분기에는 3.2%로 확대됐다"면서 "다만 1분기를 정점으로 성장세는 둔화된다. 재정효과가 본격화된 작년 2분기 고성장의 기저효과가 부담"이라고 밝혔다.
그는 "세계경기는 작년 상반기를 기점으로 성장세가 위축됐는데 대외 수요 악화 영향이 미국 수출 경기에 반영된 시점은 작년 4분기부터"라며 "재정의 기저효과, 대외 수요 부진으로 미국은 하반기 2% 내외 성장세에 머물 가능성이 커졌다"고 풀이했다.
금융시장도 이러한 우려를 반영해 5월 이후 미국 주식시장이 조정을 보인 가운데 국채 금리는 연저점을 경신하는 흐름을 보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