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보험개발원
보험개발원이 발표한 ‘2017년 표준화 사망률(10만 명당 사망자)’에 따르면 암 57.3명, 심장질환 13.4명, 자살 10.2명, 뇌혈관질환 7.5명, 폐렴 5.7명, 교통사고 5.6명, 간질환 4.3명 등으로 집계됐다. 2007년 사망원인 5위였던 자살(8.3명)이 2017년 3위로 올라선 점이 눈에 띈다.
2007년 사망원인 3·4위는 각각 뇌혈관질환과 교통사고였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자살로 인한 사망률이 급상승한 것이 이번 순위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자살로 인한 사망이 2008년 10만 명당 8.6명에서 2009년 12.3명, 2010년 13.5명으로 늘어난 것이 이를 반증했다.
보험개발원 측은 “자살률은 일관된 증감 추이를 보이지 않지만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경제지표 악화가 2008년 이후 3년간 자살률 급등과 관련이 있다”고 추정했다. 폐렴은 2007년 사망원인 7위에서 2017년 사망원인 5위로 상승했다. 보험개발원은 “폐렴의 사망률도 연평균 3.9%씩 높아지고 있다”며 “고령화로 관련 사망률이 점진적으로 오르는 추세”라고 부연했다.
한편 국내 보험가입자의 사망률은 2007년 10만 명당 197.4명에서 2017년 134.8명으로 10년간 연평균 3.7%씩 낮아졌다. 사망률이 낮아지면서 신규 보험가입자들의 평균 연령은 같은 기간 35.3세에서 42.4세로, 보험가입자 중 사망한 사람의 평균 연령은 51.3세에서 58.8세로 높아졌다. 의료기술의 발달, 생활환경의 선진화 및 교육수준 향상 등이 사망률 저하의 원인으로 꼽혔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