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금센터는 "내년초 관세율 인상 계획은 3월 이후로 연기됐지만 양국간의 입장 차이가 단기간내 해소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미국은 무역수지 역조 완화를 넘어 지재권, 기술이전, 사이버 보안 등 경제정책 전반의 이슈들을 쟁점화하고 있는 반면 중국은 대미 무역흑자 축소를 중심으로 한 해결책을 제시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두 강대국의 무역분쟁이 단기간 해결되긴 어렵다고 봤다.
센터는 "미국과 달리 중국은 90일 시한도 언급하지 않은 상태"라고 지적했다.
센터는 "중간선거 이후 하원이 민주당 우위로 전환됐기 때문에 러시아 스캔들의 조사결과도 변수가 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탄핵 논의가 부각될 경우 트럼프닫기

이어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없지만 미중 무역협상의 진전 여부는 자동차 부문 관세부과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센터는 "외국계 IB 등은 조만간 미 상무부가 232조에 따른 자동차 부문 조사 결과를 발표할 것이며 EU와의 쌍무협상 결과가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면서 "선택적인 관세 부과 가능성은 높다는 것이 중론"이라고 소개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