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은 29일 롯데호텔에서 '미래의 금융, 새로운 금융감독'이란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국제 심포지엄에는 국내외 유수의 금융회사, 빅테크 기업, 감독기구 , 연구소 등 총 19개 기관에서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A.I., 빅데이터, 클라우드를 활용한 핀테크 혁신 등 미래 금융의 모습을 조망하고, 주요국 감독기구의 섭테크 사례와 금융회사의 행태․문화 감독 등 새로운 금융감독의 흐름에 대해 논의한다.
심포지엄은 총 2개 트랙, 4개 세션으로 구성되었으며 세션 별로 좌장의 주재 하에 초청 연사의 주제 발표와 Q&A로 진행된다.
첫번째 세션은 핀테크 혁신과 관련해 하영구 전 은행연합회장 주재 하에 구글 클라우드, 아마존 웹서비스, 블룸버그 등의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활용한 핀테크 혁신 사례를, 발표한다. 두번째 세션에서는 구글플레이, 삼성전자, 스타벅스, 마이크로소프트 등에서의 모바일 지급 결제, A.I. 등을 통한 디지털 금융혁신이 변화시킨 금융생활을 조망한다. 세번째 세셩은 신진영 연세대 교수 주재로 싱가포르 통화감독청과 금융감독원 섭테크(Suptech) 사례를 소개하고 한국은행에서 중앙은행의 디지털 화폐에 대해 발표한다.
두번째 트렉은 김유니스 이화여대 교수 주재하에 '인간의 행태와 조직 문화'를 논의한다. 네덜란으 중앙은행과 ING에서 금융회사의 행태·문화 감독 사례를 발표하고, 영국 영업행위감독청(FCA)과 런던 경제연구소(London Economics)에서 행태경제학적 방법론을 적용한 금융감독과 소비자 보호 사례를 소개한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