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오후 서울 종로구 KT혜화지사 국제통신운용센터에서 열린 KT아현지사 화재로 인한 후속대책 논의를 위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통신 3사 최고경영자 긴급 대책 회의에서 유영민(왼쪽-두-번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발언하고 있다/사진=뉴스핌
회의에는 하현회닫기


유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KT 아현지사 지하 통신구 화재로 국민 여러분께 많은 불편과 피해를 드려 송구하다"며 "이번 사고를 통해 통신사업자뿐만 아니라 정부의 유사시 대응사항 준비에 많은 문제점이 있음이 드러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 통신은 국가의 안보와 국민의 안전한 삶에 매우 중요한 공공재라는 관점에서 판단하고, 모든 것을 근본적으로 다시 준비해야 한다는 큰 숙제를 던져줬다”고 말했다.
유 장관은 “화재 등 재난에 대비해 통신구의 안전 강화 및 백업 체제 구축 등 통신 재난 대응과 예방에 대해서 정부와 통신사들은 적극 관심을 두고 엄중한 마음으로 같이 만들어나가야 한다”며 “이번 사고에 대한 후속 조치는 비단 KT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통신 3사가 공동의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중차대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유 장관은 “우선 KT가 복구와 피해 보상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논의 사안을 밝혔다.
아울러 "아현 통신국이 D등급이지만 서울 지역 거의 4분의1, 5분의1이 막대한 피해를 봤다면 그런 사고를 감지하고 예측했어야 한다"며 "스프링클러나 여러 가지 소방장비들이 준비되고 백업시스템이 마련됐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유영민 장관은 “통신 3사의 전국 통신구에 대한 안전 점검과 시나리오별 실태 파악을 전면적으로 시작하겠다”며 “통신 3사가 재해나 유사시에 같이 공동으로 대응하는 방안에 대한 것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유 장관은 “바로 내일부터 전 관련 부처와 통신사들이 참여하는 TF가 가동될 것”이라며 “TF에 통신사도 관련 부처도 적극 참여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끝으로 유 장관은 “정부는 통신사와 협력을 통해 올해 말까지 안전한 통신망 대책 수립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거듭 사과의 뜻을 전했다.
한편 KT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KT와 KT 협력사 내부 인력 1100여명이 현장에 투입돼 피해 복구를 위해 노력 중이다.
김희연 기자 hyk8@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