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홍철 연구원은 "한은 기준금리에 있어서 과도한 유동성에 따른 자산가격 상승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다만 향후 연준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고 봤다. 연준이 과도한 경기 자신감을 보이고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추론했다.
문 연구원은 "연준 인사들의 과도한 자신감과 미국채 금리의 상승, 재정 정책의 유통기한 소모 등은 미국의 성장 모멘텀을 상대적으로 둔화시킬 수 있다"고 진단했다.
문 연구원은 미국 경기가 파국으로 치닫는 것이 아닌 상대적인 모멘텀 약화 정도라면 달러가 약해지기 때문에 글로벌 경기에 매우 긍정적이지만, 전망의 불확실성이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는 변하지 않은 펀더멘털 하에서 미국의 성장 지속→연준의 과도한 자신감→매파적 통화정책 우려에 따른 장기금리 상승→경기 후반부 사이클에서 성장 둔화 야기→기준 금리 인상 중단 또는 둔화→달러 약세→미국 외 지역의 성장과 이들의 긴축적 통화정책→미국과의 통화정책 차별화로 인한 달러 약세와 같은 흐름을 제시했다.
그는 이 시나리오에 따른 약달러는 한국을 포함한 미국 외 지역의 성장을 뒷받침하고 특히 유동성 과잉을 촉발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