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강화 적용이 약 2개월이 지났지만 큰 변화가 없는 '목동'. 사진은 '목동아파트 14단지'.
2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재건축 안전진단 강화가 적용된 지난 3월 목동 신시가지 7단지 전용면적 53.88㎡ 거래는 2건이 발생했다. 거래 금액은 8억7000만~8억9300만원이다. 이는 지난해 12월과 지난 1월 거래된 8억9000만원과 유사하다.
해당 지역 A공인중개사무소 한 관계자는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이 강화됐지만, 매매가는 하락되지 않았다”며 “큰 변화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물론 과거보다는 거래가 둔화된 느낌은 있다”며 “안전진단 기준 강화에도 불구하고 결국 재건축이 이뤄질 것이라는 믿음이 있어 매매가에 큰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고 덧붙였다.
B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도 “최근 27평에 11억5000만원의 급매물이 나오기 했지만, 이는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강화 시행 전보다 2000만원 가량 떨어진 수준”이라며 “기준 적용 2개월이 지난 가운데 문의가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목동은 국토교통부의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강화가 발표된 직후 가장 큰 타격을 받을 지역으로 꼽혔다. 목동이 속한 서울시 양천구가 재건축 연한(준공 후 30년)이 지난 아파트 중 안전진단을 받지 않은 곳이 2만4538가구에 달했기 때문이다.
당시 부동산 업계 한 관계자는 “이번 대책으로 인해 서울지역 땅값을 이끌었던 재건축 시장 매매가는 관망세로 돌아서게 될 것”이라며 “뿐만 아니라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와 같은 지역별 양극화도 심해질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