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 사장은 26일(현지시간) MWC 2018이 열리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무제한 요금제를 뛰어넘는 새 요금제를 3월에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고객이 싫어하는 것은 하지 말라고 했고, 고객에게 가치를 주지 않는 낙전과 같은 수입이 있다면 과감히 걷어내서 돌려주라고 얘기했다”며 “앞으로 고객이 실감하기 어려운 요금제 말고, 옷 사이즈처럼 ‘라지’ ‘스몰’로 (단순하게) 얘기하는 서비스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박 사장은 로밍 요금제도 개선해야 할 대상이라고 밝혔다. 그는 “해외 여행객의 20%만 로밍을 쓰는데 비싼 요금 때문에 통신사들이 비난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며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에 극복 방안을 찾아보자는 뜻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이어 박 사장은 내년 5G 전환을 앞두고 “5G 세계 최초는 중요하다”면서 “화웨이, 삼성전자, 버라이즌 등이 5G 최초를 하려하는데 그 이유는 5G가 현실 세계와 연결시키는 최초의 인프라 스트럭쳐가 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박 사장은 SK텔레콤이 세계 최초로 5G 네트워크를 구축하면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회사들이 한국으로 진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이러한 혁신적인 회사들을 벤치마킹해 국부를 창출해 나갈 것을 기대한는 입장이다.
뿐만 아니라 박 사장은 5G 핵심 요소는 안전성이라고 강조했다. 박 사장은 “5G가 오프라인 세계를 관제할 때 한 번 시스템에 실수가 생기면 큰 재해가 발생한다”며 “안전성이 소비자 선택에서 중요한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그는 이어 “자율주행차가 대표적인 사례다. 완전 자율주행이 아니더라도 소비자는 양자암호모듈을 탑재한 차량처럼 해킹 우려가 낮은 차를 선택할 것이다”며 “망을 안전하게 유지하고 보호하는 데 얼마나 투자하느냐에 따라 소비자의 선택이 달라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승한 기자 sh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