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국토교통부.
국토부는 도로·철도·수자원·항공반 등 분야별 7개 진단반을 국가안전대진단 추진단으로 구성했다. 5개 지방국토관리청과 도로공사, 철도공단,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7개 산하기관은 민·관 합동 국가 안전대진단팀을 꾸려 안전실태를 점검한다. 안전등급이 C등급 이하인 시설물과 20년 이상 노후된 시설물 등이 진단 대상이다.
지난해 11월 15일 발생한 포항지진 영향권(진도 4이상) 내 교량・터널 등 시설물에 대해서는 안전등급과 공용 연수에 상관없이 다시 한 번 점검한다.
점검 결과 안전 위해 요인은 현장에서 즉시 시정 조치한다. 위험요소가 발견되면 시설물 보수・보강, 사용 제한, 사용 금지는 물론,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해 보수・보강토록 조치한다. 안전대진단에서는 시설물의 구조적 안전성 뿐만 아니라 안전규정 준수 여부, 안전 관리체계 등을 점검하고, 불합리한 제도를 찾아 개선한다.
손병석 국토부 1차관은 “최근 잇따라 발생한 제천과 밀양의 대형화재와 각종 사고로 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이 그 어느 때보다도 고조된 엄중한 시국인 만큼, 안전대진단에 철저히 임해달라”며 “안전대진단이 예년의 형식적 진단을 뛰어 넘어 안전 사각지대, 안전 취약요인 등을 꼼곰히 살펴 전반적인 위험요인을 사전에 제가할 수 있는 실질적 진단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