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선숙 국민의당 의원이 기업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기업은행 문화콘텐츠진흥부 담당자는 영화 제작사로부터 예산서, 손익분석 등 투자 관련 자료를 받기 전에 '예비검토보고서'를 작성했다. 관련 투자자료 요청도 예비검토보고서 작성 하루 전에 급하게 요청됐다는 게 박선숙 의원실 설명이다.
게다가 해당 영화 제작사가 투자처인 은행에 보낸 '인천상륙작전 예상 손익' 자료는 관객이 420만, 500만, 1000만명일 때 각각 매출액 대비 투자수익이 얼마라는 내용의 한 장짜리 자료에 불과해 부실하다는 지적이다.
박선숙 의원은 또 제작사가 2015년 10월 30일 제작발표회를 열고 출연진을 공개하면서 투자자로 기업은행이 참여한다고 밝힌 데 대해서도 짚었다. 투자 참여를 위한 기업은행의 실무협의회가 개최된 것은 제작발표회 하루 전날인 그해 10월 29일, 투자를 최종적으로 확정하는 심사위원회는 그해 11월 6일에서야 열렸다. 실제 계약서는 그해 11월 9일 작성됐다.
박선숙 의원은 "기업은행이 공식적인 ‘예비검토보고서’를 작성해 심의도 하기 전에 배급사에서 기업은행의 투자가 이미 확정된 사실을 알고 제작사와 계약을 체결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박선숙 의원은 "기업은행은 투자를 요청하는 제작사의 관련 자료가 지극히 부실한 것에 대해 영화계의 관행이라고 해명했지만, 2015년 11월 9일 작성한 계약서는 기존의 관행과 달리 기초적인 내용조차 적시하지 않아 개봉을 한 달 앞둔 2016년 6월에야 계약서를 수정했다"고 덧붙였다.
박선숙 의원은 "기업은행의 투자 과정에서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는 것에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업은행은 2015년 10월 29일 기준 영화 11편에 46억원을 투자했다. 영화 한 편당 평균 투자금액은 4억2000만원이다. 영화 '인천상륙작전'에는 총 26억2500만원을 투자했다.
![[文정부 첫 국감] 박선숙 "기업은행, 영화 '인천상륙작전' 투자결정 검토 부실"](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70907161325188267fnimage_01.jpg&nmt=18)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