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정부는 투기과열지구·투기지구 지정, 다주택자 양도세 강화, LTV(담보인정비율)·DTI(총부채상환비율) 강화, 청약제도 개편 등을 골자로 한 8·2대책을 발표했다.
이 같은 정부 정책 발표이후 건설업계는 수도권에서 분양하고 있는 아파트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날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현재 수도권을 중심으로 분양하고 있는 대단지 아파트의 경우 지금 당장 규제가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면서 “상반기부터 분양을 준비하고 있는 단지에 대해 당초 일정보다 앞당겨 진행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본격적인 대책이 시행되는 9월 이전에 모집 공고를 예정인 건설사들이 앞다퉈 분양을 마무리 지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분양을 앞둔 건설사 관계자는 “이번 정책은 조합원 분양권 거래 규제 등 강남권 재건축시장을 노렸기 때문에 지방 광역시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며 “전매 6개월 제한으로는 효과를 보기 어렵고, 전반적으로 강남에 초점을 맞춘 정책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이번 8‧2 부동산 대책을 놓고 서울 등 수도권에 단기적인 시세 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단기적인 충격은 있겠지만, 주택공급이 근본적으로 부족한 지역에서는 집값 안정 효과가 제한적일 것”이라며 “수요를 억제하는 만큼 주택 공급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고 진단했다.
유명환 기자 ymh753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