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LiP CARD(클립 카드)’ /사진제공=KT
KT는 네트워크에 기반한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선보여 왔으며, 금융거래 플랫폼을 미래성장사업인 5대 플랫폼 중 하나로 선정하는 등 금융과 ICT의 융합을 준비해왔다. 이번에 출시한 ‘CLiP CARD’는 인증, 모바일 전자지갑 ‘CLiP’, 휴대폰 결제 등으로 축적한 금융서비스 노하우와 향후 빅데이터, AI 등의 ICT를 접목할 수 있는 KT의 핵심 금융거래 플랫폼이다.
‘CLiP CARD’는 △대부분의 카드 이용자들은 여전히 오프라인에서 실물 카드 결제를 주로 이용, △간편결제 수단은 실물카드 대비 보조결제 수단으로 인지, △금융사와 ICT기업간의 융합으로 핀테크 시장 활성화, △1000만 가입자가 넘는 모바일 전자지갑 ‘CLIP’과의 시너지 등을 고려해 출시했다.
기존 신용카드와 동일한 크기인 ‘CLiP CARD’는 신용·체크카드 10개, 멤버십카드 10개, 선불형 교통카드 1개를 포함해 총 21개의 결제 수단을 하나의 카드에 담을 수 있다. 특히, ‘CLiP CARD’는 기존 간편결제와 달리 네트워크, 스마트폰 앱 구동, 특정 제조사의 단말, OS(운영체제), 통신사에 구애를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오프라인 가맹점 결제가 가능하다.
또한, ‘CLiP CARD’는 1.3인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가 등록한 교통카드 잔액, 멤버십 바코드 번호, 결제할 카드의 종류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내장된 리튬이온 배터리를 1번 충전하면 3~4주간 사용할 수 있는 등 새로운 카드 디바이스지만 이용 시에는 기존의 신용카드처럼 익숙하다.
‘CLiP CARD’는 스마트폰을 보유한 소비자라면 누구나 쉽게 등록해 사용할 수 있다. ‘CLiP CARD’의 사용법은 KT의 모바일 전자지갑 ‘CLiP’을 다운받고 사용자가 원하는 신용·체크·멤버십 카드를 등록한다. 이후 블루투스를 통해 ‘CLiP CARD’와 연결해 ‘CLiP’앱에 등록된 카드를 다운받으면 된다.
현재 등록할 수 있는 카드사는 비씨카드, 롯데카드, 하나카드를 포함해 총 3개사이며, 연내 국내 모든 카드사와 제휴를 맺어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단 교통카드는 별도의 등록절차 없이 바로 현금을 충전해 사용할 수 있다.
‘CLiP CARD’는 다양한 카드를 등록해 사용하기 때문에 분실과 도난에 대비한 보안도 강화했다. 사용자는 카드를 사용하기 전에 등록한 패턴락(잠금기능)을 풀어야 한다. 첨단 보안 방식인 토큰방식을 탑재해 복제와 해킹의 우려를 덜었다. 또한, ‘CLiP’앱을 통해 분실신고를 하면 그 즉시 카드사의 토큰 정보를 모두 삭제해 타인이 사용할 수 없도록 했다.
‘CLiP CARD’의 권장 소비자가격은 10만8000원며, 제휴 카드사와 선보이는 신규 상품 신청 시 함께 구매할 수 있다.
김형닫기

김승한 기자 sh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