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후진타오, 올림픽 앞두고 전기차 보급 열올려
중국은 현재 부동의 글로벌 전기차 1위다. 중국의 지난해 전기차 누적 판매는 80만2100대로 2위인 미국(56만2500대)과 약 25만대 차이가 난다. 국내(1만2000대)와 비교하면 80배 이상 큰 시장이다.
이 같은 중국 정부의 전기차 정책은 지난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이하 올림픽)’으로 꼽힌다. 중국 역사상 첫 거대 국제 스포츠 이벤트였던 올림픽을 앞두고 중국의 골칫거리 중 하나는 미세먼지 등 대기환경의 악화였다. 당시 국가 주석이었던 후진타오 주석은 관련 타개책으로 전기차 카드를 꺼내든 것.
이를 위해 후진타오 주석은 대형버스를 시작으로 디젤차를 줄이기 시작했다. 대형버스를 가스차로 바꾸거나 전기차로 교체한 것. 이후 오토바이, 자전거 등 대중교통부터 전기차 도입을 강행했다.
중국 전기차 시장에 전통한 한 관계자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기점으로 중국의 전기차 시장의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다”며 “우선적으로 타깃을 삼은 차는 디젤”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현재 중국 내 시내버스의 밑바닥은 거의 다 배터리”라며 “중국 내에서 디젤 엔진을 사용하는 버스는 찾아보기 힘들다”고 덧붙였다.
◇ 인프라 확대 어려움은 숙제
전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으로 꼽히고 있는 중국이지만, 국내와 마찬가지로 전기차 인프라 확대에 대한 문제는 존재한다. 현재 중국 내 전기차 규모는 280만대로 추산된다. 아직은 중국 자동차 시장의 1%가 겨우 넘는 수준이다. 결국 전기차 인프라 확대에 발목이 잡히고 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의 전언이다.
또 다른 관계자는 “중국도 국내와 마찬가지로 전기차 인프라 확대에 있어 고충이 있다”며 “이에 따라 중국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가 예상 보다 느리다는 평가도 존재한다”고 말했다.
한편, 중국 정부는 최근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축소했다. 올해부터 신에너지차 보조금을 지난해보다 20% 삭감한 것. 이는 전기차 보급률이 확대됐고, 저가형 전기차 출시 등이 이어진 것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