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주요국 대표지수의 등락률 현황에 따르면 영국 FTSE100 지수가 가장 높은 상승률인 14.4%를 기록했으며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4.0% 떨어져 가장 큰 폭의 하락률을 보였다.
조사대상은 한국(코스피·코스닥), 미국(NYSE·NASDAQ), 일본, 중국, 영국, 홍콩 등의 대표지수 구성종목의 시가총액 상위 30종목이며, 조사방법은 2015년말 시가총액 대비 2016년말 시가총액을 비교하는 방식이다.
주요국 시가총액 상위 30종목의 현황은 미국의 NYSE 종합지수 상위 30종목의 전년말 대비 시가총액 증가율이 9.8%로 가장 높았으며, 한국의 코스닥은 시가총액 증가율이 -12.0%로 가장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국 시가총액 1위사의 증감률 현황은 영국 FTSE100의 로얄더치쉘(Class B)이 59.4%로 1위, 코스피의 삼성전자가 33.0%로 2위의 시총 증가율을 기록했다. 중국 상하이 종합지수의 중국공상은행이 -8.0%로 15년말 대비 가장 크게 시가총액이 감소했다.
시가총액 상위 30종목 교체 현황의 경우엔 평균 4종목이 교체(평균 13%의 교체율)돼 시가총액 상위종목의 순위는 고착화되는 현상을 보였다. 단, 코스닥의 경우엔 상위 30종목의 변동이 활발한 편이었다.
또한 잔류종목의 평균 시총상승률은 △1.5%인데 반해, 신규진입 종목은 평균 49.6%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며 시총 상위 30종목에 편입하는 특성을 보였다.
주요국 시가총액 상위 30종목 중 시총 증가율 상위종목 현황은 미국 NASDAQ지수의 Charter Communications가 336.5%로 가장 높은 시총 증가율을 기록했다.
고영훈 기자 gy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