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제공=금융위원회
임종룡닫기

아울러 금융당국은 중금리 대출 활성화를 위해 현재 1조원 규모 사잇돌대출 보증한도 소진 시 1조원을 추가 공급하고 금융사도 확대하기로 했다.
또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를 현재 33개에서 40여개로 확대 신설한다.
한계차주에 대한 신용대출 119 프로그램을 확대해 연체를 막고 상환능력이 일시적으로 떨어진 차주에 대한 긴급자금대출도 늘린다.
기업은행이 총 59조원을 공급한다. 기업은행의 창업·성장기업에 대한 자금 공급을 내년 중 18조원 이상으로 늘리고, 소기업·소상공인 등에 대한 금리우대 등 특별지원 프로그램으로 연 12조원 이상을 지원한다.
신보·기보는 보증공급을 확장적 기조로 바꿔 지난해 대비 최소 3조원 이상 늘어난 66조원 이상을 공급하기로 했다.
산업은행은 중견기업에 26조원 이상을 지원하고, 인공지능·미래신성장산업에도 20조원 이상 자금을 공급한다.
또 내년 기술금융 공급액도 당초 계획인 67조원에서 80조원으로 대폭 확대된다. 2019년까지 예정된 기술금융 투자도 1조원 목표를 내년까지 앞당겨 달성하고 2019년까지 추가로 3조원 이상의 투자가 이뤄지도록 하기로 했다.
위탁보증은 내년 장기보증 이용기업을 대상으로 시범 시행하고 단계적으로 확대된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은행권은 보증기관의 보증서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낙후된 여신심사 방식을 지속해 왔다"며 "위탁보증 시행을 통해 기존의 '보증따로, 대출따로' 방식에서 은행의 보증과 대출을 통합 심사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금융감독원 부원장, 기업은행장, 신보 이사장, 기보 이사장, 서민금융진흥원장을 비롯, 은행연합회장, 국민은행장, 신한은행장, 우리은행장, KEB하나은행장, NH농협은행장 등이 참석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