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은 미국 동부시각 지난 7일 오전 10시 샌프란시스코 빌 그레이엄(Bill Graham) 시민강당에서 새 아이폰인 ‘아이폰7’과 ‘아이폰7 플러스’를 선보였다. 전작인 아이폰6와 아이폰6s가 나온지 1년만이다.
애플은 ‘슈퍼마리오’ 등의 독점 게임 콘텐츠를 확보해, 아이폰 판매 부진으로 추락한 애플의 위상을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을 드러냈다.
그러나 이날 공개된 아이폰7은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을 위협할 만한 ‘새로운 기능’은 보여주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이폰7은 ‘얇은 두께’를 핵심 경쟁력으로 앞세우기 위해 3.5㎜ 이어폰 단자(헤드폰 소켓)를 없앤 것 빼고는 기존 제품과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유사하다.
단, 블루투스와 충전포트로 최대 5시간 가량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이어폰 ‘에어 팟’을 별도 판매한다.
이와 관련해 애플 관계자는 “아이폰7에 보다 다양한 기능을 담고 싶었지만 이어폰 잭은 차지하는 공간에 비해 활용도가 떨어져 제거하게 됐다”며 “대신 무선으로 음악을 제대로 즐길 수 있도록 제품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또 하나의 특징으로는 전작에 비해 크게 향상된 ‘카메라 기능’을 꼽을 수 있다.
화면 크기가 4.7인치인 아이폰 7의 카메라에는 지난해까지 대화면(5.5인치) 모델에만 탑재됐던 ‘광학적 이미지 안정화’(OIS) 기능이 추가되는 등 촬영 성능이 향상됐다. 새 대화면 모델인 아이폰7 플러스엔 와이드 렌즈와 56mm 텔레포토 렌즈가 함께 달린 듀얼 카메라가 탑재돼 초점거리를 조절하며 최대 2배까지 광학줌도 가능해졌다.
색상의 경우 기존 골드, 실버, 로즈 골드 제품에 다크 블랙과 피아노 블랙이 추가됐다. 한국은 1차 출시국에서 제외됐으며, 가격은 아이폰7은 649 달러(70만9000원), 아이폰7플러스는 769달러(84만원)에 판매된다.
아이폰7이 공개 직후부터 ‘혁신 실종’이라는 시장의 뭇매를 맞으면서 일단 삼성의 갤럭시노트7에는 큰 위협이 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동시에 하반기 스마트폰 시장은 어느 한 제품의 독보적인 우위를 점치기 어려운 경쟁 상황으로 갈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아이폰7’이 공개된 직후, 애플이 이를 앞세워 침체된 분위기를 뒤집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전작에 비해 디자인 등에서 눈에 띄는 혁신을 찾아보기 힘들 뿐더러, 고객의 구매 욕구를 자극할 셀링포인트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한 시장 관계자는 “아이폰7은 애플 제품의 가장 큰 경쟁력으로 꼽히는 ‘디자인’ 측면에서 전작과 큰 차이를 찾아볼 수 없다는 것이 가장 부정적인 요인”이라며 “아이폰7을 앞세워 과거 아이폰의 영광을 재현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애플은 이날 행사에서 새 아이폰과 함께 2년 만에 2세대 스마트워치인 ‘애플워치2’도 선보였다.
오아름 기자 ajtwls070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