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승연 회장(왼쪽 첫번째)과 금춘수 경영기획실 사장(앞줄 왼쪽 세번째)이 류성주 한화큐셀 진천공장장(앞줄 왼쪽 두번째)으로부터 공장 시설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5일 김승연회장은 한화큐셀 남성우 대표이사로부터 한화큐셀 진천 셀공장에서 양산된 제1호 태양전지로 만든 기념패를 받고, 임직원들을 격려하는 문구가 인쇄된 미니모듈을 전달했다.
김승연회장은 “한화그룹은 지난 5년간 남다른 사명감으로 태양광 사업에 매진해 왔다. 인류의 미래를 위해 장기적인 시각으로 고민하고 육성해야 할 사업이라 여겼고, 장차 대한민국을 대표할 또 하나의 미래산업으로 키워보자는 큰 비전을 실천해 왔다”고 밝혔다.
또한 “ 당초 생산공장 후보지를 제조원가가 낮은 말레이시아에서 국내로 변경하게 된 이유도 국내에서의 고용증대와 태양광 산업의 전략적 육성이라는 사명감 때문이다”며 “이를 위해 지금까지 충청권에 6000억원을 투자했고 1300여명의 고용을 창출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어려운 경제상황 속에서도 기업이 지역사회와 ‘함께 멀리’를 실천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에 힘을 불어넣고 더 나아가 국가경제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한편 한화큐셀 진천 셀 공장은 약 18만 평방미터의 부지에 1.4GW의 셀을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추고 있다. 이로써 한국-말레이시아-중국에 걸쳐 총 5.2GW의 셀 생산규모를 갖춰, 셀 생산규모 면에서 글로벌 1위의 위상을 더욱 확고히 하게 됐다.
한화큐셀은 진천 셀 공장과 함께 충북 음성군 금왕읍 약 2만 2000평방미터 부지에 1.5GW 규모의 모듈생산시설을 가동 중에 있다.
현재까지 한화그룹은 진천 셀 공장과 음성 모듈공장에 약 6000억원을 투자했으며 약 1300명의 신규 고용을 창출했다. 생산된 제품 대부분은 수출되고 1조 6000억원 이상의 직접적 경제가치도 창출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추가로 한화그룹은 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의 핵심 사업인 충청권 태양광 클러스터 구축을 위해 서산솔라벤처를 조성하는 등 다각도로 투자를 진행 중이다.
김은지 기자 rdwrw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