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후 2∼6시에 초등학생 교통사고 사상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쌍용차가 펼치는 초등학생 교통사고 예방 캠페인인 ‘엄마손 캠페인’ 장면. 쌍용차 제공
이는 공단이 초등학생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보행자 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분석 결과 지난 5년(2010년~2014년) 간 초등학생이 보행 중 교통사고로 145명이 사망하고 1만9941명이 부상을 입었다. 한해 평균 4000여명의 어린이가 보행 중 교통사고로 다치거나 사망하고 있는 실정인 것.
보행 사상자는 학년이 낮을수록 많아, 3학년 이하에서 보행 사상자가 는 58.5%로, 이중 1학년이 20.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2학년 19.7%, 3학년 18.2% 순으로 많았다.
저학년의 교통사고로 인한 보행 사상자는 오후 2~6시 집중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시간대에 보행사상자의 절반 이상(51.4%)이 집중됐다.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종합분석센터 박길수 센터장은 “오전 등교 시간대는 녹색어머니회의 교통안전지도 등 초등학생 교통안전에 대해 많은 관심이 집중되지만, 오후 시간대는 상대적으로 교통안전관리가 미흡하고 학원생활, 놀이 등으로 야외활동이 증가하기 때문에 사고 위험성이 커진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은 교통안전의식이 낮아 갑자기 차도에 뛰어들거나 무단횡단을 할 수 있어, 학교와 가정에서 안전한 보행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지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정수남 기자 perec@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