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수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최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6년 주요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최 이사장은 “세계 투자자들의 거래제약 해소와 시장 접근성 개선을 위해 매매 거래시간을 30분 늘리고 시간외 접속매매, 대량매매제도 개선, 호가단위 세분화 등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거래시간 연장은 당초 중장기적 도입 과제였으나, 최 이사장은 최근 급선회해 올해 안으로 거래시간을 연장하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파악됐다. 시간 연장이 도입될 경우 한국 증시는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열리게 된다. 거래소 관계자는 “거래시간이 늘면 거래대금이 늘어날 수 있는지 자료를 분석하고 있다”며 “관계 기관과 협의를 거쳐 빠르면 올해 안에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증권가 반응은 시큰둥하다. 거래시간이 늘어도 기대하는 만큼의 거래 증가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실제 거래대금을 좌지우지 하는 외국인과 기관의 거래 대금이 증가할 가능성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사 한 애널리스트는 “외국인과 기관은 이미 전일 매매 전략을 짜 놓고 들어오기 때문에 거래 증가가 어렵다”며 “개인 거래대금이 다소 상승할 수 있겠지만 전체 거래 대금 기여도는 낮은 수준이라 전체 거래대금 증가도 미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현업 종사자들은 거래 시간이 늘 경우 업무 부담만 가중될 것이라는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 근무 시간 내내 긴장 속에 시황을 살펴야 하는 업무 특성상 30분 연장에 따른 추가 부담이 녹록치 않다는 얘기다. 증권사 관계자는 “증권업계 종사자의 업무량을 일률적으로 수치화하기는 어렵다”면서도 “기관의 펀드매니저나 시장 전략 담당자, 운용사, 자문사 입장에서는 체력적인 부담이 가중돼 스트레스도 상승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증권가에서는 이번 대책이 거래대금을 늘려야 하는 거래소의 미봉책 정도로 폄하하고 있다. 거래소가 특단의 대책은 없고 시간 연장이라는 ‘쉬운’ 선택을 했다는 것이다.
아울러 거래소는 이번 대책을 강하게 밀어붙이는 모양새지만, 금융당국과의 협의도 거치지 않은 상태다. 이로 인해 일각에서는 이사장의 치적용 ‘전시 행정’이라는 비아냥거림마저 내고 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거래시간 연장은 금융당국은 물론, 증권 종사자와 협의가 선행돼야 한다”며 “아직 금융위와 협의도 되지 않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장원석 기자 one218@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