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치호 연구원은 28일 "진짬뽕은 출시후 50일만에 1000만 봉지를 판매한 이후 10일 만에 1000만 봉지를 더 판매하면서 짜왕대비 빠른페이스로 돌풍을 이끌고 있다"며 "빠른 진짬뽕의 돌풍과 기존 진라면의 판매 호조로 라면 부문 시장점유율은 20% 초반대로 상승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송 연구원은 "진짬뽕의 최근과 같은 빠른 페이스가 이어진다면 내년 초에는 완전가동 모드로 돌입하면서 라인 증설의 고민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고판단한다"며 "완전 가동시 물량기준 시장점유율은 20 % 중반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진짬뽕은 기존의 일반라면보다 400~500원 가량 평균판매단가(ASP) 가 높으나 짬뽕국물을 내기위한 고가의 재료비로 기존의 진라면과 원가율은 유사한 수준으로 판단한다"며 "단기로는 판촉비용으로 이익에 기여하는 정도는 약하나 장기로는 판촉비 정상화와 함께 고정비 감소에 기여하면서 이익 레벨업에 기여할 수 있는 구조"라고 덧붙였다.
이어 "리스크요인은 식품부문은 진짬뽕 판촉이 집중됨에 따른 판촉약화로 소폭 부진할 수 있다"며 "기존 식품의 성장은 내년 둔화될 수 있어라면 부문에 투자포인트를 잡아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용 또한 원료인 유지류의 원가가 작년 대비 올해에 레벨 다운된 상황으로 추가 원재료비용 하락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장원석 기자 one218@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