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효성은 인도 전력청 및 파나마 송전청에서 발주한 3천만달러 규모의 스태콤 공급업체로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 국내 기업이 해외스태콤 시장에 진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스태콤은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기를 사용처에 전달할 때 손실되는 전력을 최소화해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다. 국내에서는 효성이 유일하게 상용화 기술을 갖고 있으며, 한국전력과의 실증 운영을 통해 세계수준의 품질 경쟁력도 확보했다.
효성이 이번에 납품하는 제품은 산업통상자원부의 국책연구 개발과제 성과를 기반으로 MMC(Modular Multi-Level Converter)라는 최신 기술을 제품에 접목한 것으로 기존 대비 10배 이상의 대용량화가 가능하다. 이 기술을 적용해 스태콤을 상용화한 곳은 전 세계에서 효성을 포함해 3개 업체에 불과하다.
업계는 이번 효성의 스태콤 해외 수주가 정부의 지속적인 연구개발(R&D)지원정책, 한전과 민간기업간의 유기적인 협력이 바탕이 돼 해외선진업체와의 기술 격차를 극복한 결과라고 평가한다.
전 세계 스태콤 시장은 연간 10억달러 규모다. 향후 신재생에너지 확대 및 도시화에 따른 전력 사용량 증가 등으로 스태콤 수요는 계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조현준닫기

인도는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제조업 육성 정책에 따라 전기 사용량이 연간 7% 이상씩 증가,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 운하 확장공사 마무리 중인 파나마는 운송물량 증가에 따른 신규 송전선 건설 등 추가 사업 기회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효성의 MMC 타입 스태콤 기술은 정부가 미래성장동력산업으로 추진하는 '멀티터미널 직류 송배전시스템(HVDC)'의 일환으로 개발됐다. 효성은 향후 국책연구개발과제에도 적극 참여해 국가 신성장 동력 창출 및 차세대 전력망 구축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김지은 기자 bridg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