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험연구원 조영현 연구위원은 ‘보험회사의 파생상품 보유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관련제도 보완을 통한 파생상품 활성화 유인확대와 업계의 관심제고가 필요한 때”라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국내 생보사의 경우 전체리스크 중 금리리스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금리파생상품 이용이 매우 저조하다”며, 금리파생상품 활성화를 통한 리스크 헤지 노력을 요구했다.
실제 파생상품을 활용한 리스크 관리는 전통적인 리스크 관리수단에 비해 효율적으로 평가되고 있어, 투기적 거래만 없다면 리스크관리 효율성을 높이는데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금융업권별 파생상품 특성과 자산규모 차를 감안해도 국내 보험사들의 파생상품 활용은 매우 낮은 수준이다. 2013년 9월말 기준 은행의 파생상품거래 잔액은 6397조원, 증권의 경우 737조원인 반면 보험업권은 38조원으로 미미한 수준이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체 금융기관의 금리파생상품 잔액이 증가한 것과 달리 보험업권의 경우 오히려 감소해 상반되는 모습까지 보이고 있다.
반면 미국 보험사들의 경우 금리리스크 헤지 목적의 파생상품 활용이 활성화 돼 있는데, 그중에서도 금리관련 파생상품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생보사의 채권규모 대비 금리파생상품 명목거래금액 비율은 0.8%인 반면 미국의 경우 29.3%로 30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보고서는 “국내 생보사들의 금리리스크 비중은 2013년 3월 기준 평균 41.8%에 이르러 금리파생상품을 이용한 리스크 경감을 꾀할 필요가 있다”며, “금리파생상품 이용 활성화를 위한 보험업계의 관심 제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대형 생보사들의 경우 금리 하락의 장기지속 가능성에 대비해 고정금리형 부채에 대응하는 자산의 듀레이션을 늘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파생상품 활성화를 위해서는 당국의 관련 제도 보완을 통해 보험사들의 이용 유인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위험회피회계적용을 받지 못하는 거래의 경우 파생상품 사용에 따른 손익의 변동성을 보험사가 감수해야 하는데, 미국은 이를 완화시키는 제도나 리스크 평가시 파생상품 활용을 고려하는 제도가 존재한다”며, “국내 또한 파생상품을 이용해 자산의 듀레이션을 늘리거나 줄인 경우 RBC 기준 듀레이션 산정에 반영하는 등의 제도보완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미리내 기자 pannil@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