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공공기관운영위원회(공운위)를 2014년 1월에 개최, 한국거래소(KRX)의 공공기관 지정 해제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공기관지정 해제의 경우 칼자루를 쥔 기획재정부는 거래소 독점업무 미해소를 사유로 수차례 거부했다. 하지만 지난 4월 자본시장법 개정을 통해 ATS(대체거래소) 도입으로 거래소의 법적 독점권이 해소되면서 해제의 전제조건은 마련된 상황이다. 주목할 부문은 거래소가 공공기관지정을 해제할 경우 기업공개에 나설 가능성도 높다는 것이다.
신한금융투자에 따르면 한국거래소는 사실상 증권사들이 주요 지분을 보유한 민간 소유의 회사다. 하지만 증권시장 관리/감시/규제 등의 공적 업무 영역과 독점적인 사업구조로 지난 2009년에 공공기관으로 지정됐다. 때문에 내년 초 공공기관 해제가 실현되면 거래소의 증시상장도 가능하다.
IPO가 현실화될 경우 약 3% 안팎의 지분을 보유한 증권사 기업가치의 리레이팅도 가능하다. 실제 대부분 증권사의 거래소 지분을 3%안팎으로 보유하고 있다. 예컨대 KDB대우증권의 경우 지분율 3.23%의 취득원가는 23.4억원이다. 하지만 지난 9월 장부가액은 994.9억원으로 PBR 1.4배 수준까지 상승했다. 이같은 지분가치의 부각으로 증권사의 재평가도 기대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신한금융투자 손미지 연구원은 “현재 대부분 증권사들이 각자 거래소의 지분을 3% 내외로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상장에 따른 지분 가치의 현실화 여부가 관심을 끌 수 밖에 없다”라며 “실제 상장까지는 수년의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높지만 공공기관 해제시 증권주의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손연구원은 또 “중소형 증권사들의 경우 현재 시가총액 대비 거래소 지분가치가 절반을 넘어가는 경우도 있어 거래소상장시 기업가치 재평가 이슈가 부각될 수 있다”라며 “중소형 증권사 기업가치 상향이 대주주의 매각/청산 의지를 높여 증권업 구조개편을 유도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최성해 기자 haeshe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