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플러스(채권)펀드는 제로인 7일 기준으로 지난 4월 설정 이후 1,000억원(1,015억원)원 돌파했으며, 이 펀드가 속한 글로벌채권형 펀드유형도 해외채권펀드유형 중 최초로 2조원을 넘었다.
업계 글로벌채권형펀드(사모포함)는 올해 3,460억원 유입돼 2조 2,486억원 규모며, 다음으로는 글로벌 하이일드가 1조 7,303억원, 신흥국채권 7,725억원, 아시아채권 1,480억원 순이다.
글로벌다이나믹플러스펀드는 전세계 다양한 섹터에 분산투자해 안정성과 수익성을 높이고 변동성을 낮춘 것이 특징이다. 안정성이 높은 선진국 국채와 한국 국공채 및 우량 회사채에 투자하는 동시에 이머징 국채와 회사채, 소버린채권, 하이일드채권 등에도 투자해 수익성을 높이는 전략으로 운용한다.
업계 최대 해외채권형 펀드인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채권)펀드는 약 1조3,000억원 규모며, 수익률은 연초 이후 8.25%를 기록 중이다. 특히, 최근 2년과 3년 수익률이 각각 15.27%, 33.31%를 기록하는 등 장단기 안정적인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표준편차는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채권)펀드의 경우 1년 기준 3.08%이며, 동 기간 글로벌하이일드 채권펀드유형 평균 표준편차 6.90%보다 2배 이상 변동성이 낮다.
임덕진 미래에셋자산운용 채널마케팅부문 이사는 “변동성 높은 시장상황 속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개인 및 기관들의 관심이 이 펀드로 이어지며 많은 자금이 유입됐다”며 “시중금리 +α 를 추구하는 대표상품으로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플러스(채권)펀드가 자리잡게 됐다.”고 말했다.
최성해 기자 haeshe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