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울러 은행계 금융지주사들은 비은행 부문과 성장가능성이 높은 핵심 부문 경쟁력 강화에 역량을 쏟아 붓고 있으며 신성장동력 확보 구상에는 해외진출이 빠짐 없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 비축한 저력 누가 효율적으로 응집시키나
지난해 사상 최대 순익 기대감이 4분기이후 퇴조하긴 했지만 은행권 금융사들은 대손충당금과 준비금을 대거 쌓는 등 내부유보를 늘림으로써 기초체력과 기반은 오히려 크게 강화했다. 금융계 일각에서는 박병원 은행연합회장이 지목한 것처럼 “경기가 나빠 자산가격이 바닥을 칠 때 공격적 투자로 경기회복 때 큰 이익을 내는” 전략은 국내 주요 금융그룹 모두가 실행할 수 있는 내용이라고 평가한다.
KB금융 어윤대 회장은 비록 지난해 말 M&A추진 의지에 대한 질문에 화답한 적이 없지만 국내외 M&A에 가장 강력한 전투력을 확보한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KB금융은 이익창출력을 완전히 회복했고 자본력 또한 선두권에 있기 때문에 어 회장의 결단 여하에 따라 국내 비은행 M&A 경쟁판도나 해외 강소(强小) 금융사 인수 등에 나설 1순위로 꼽힌다.
우리금융 이팔성 회장은 자산클린화를 마치는 첫해이자 우리금융 민영화 재추진에 취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기울일 것을 선언했다. 이 회장은 비은행부문의 선조적 지위확보, 글로벌 사업 가속화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신한지주 한동우 회장은 대내외 여건 변화 대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건전성 제고 노력을 강조하고 있으며 출범을 앞둔 CIB부문과 WM부문 매트릭스 조직을 축으로 경쟁력의 차원 높이기를 꾀할 전망이다. 보수적 경영전략을 강조하면서도 스마트금융 등 미래 트렌드 대응 등 융복합 과제 선점에도 관심이 높기 때문에 사업기회 발굴과 개척 노력 역시 쉼 없을 전망이다.
◇ 장기 성장 노력에 둘째가랄 수 없는 치열함
하나금융 김승유 회장은 외환은행 인수가 해를 넘긴 가운데 지난해에도 기민하게 대응했던 비은행 부문 강화 노력이나 글로벌 진출 등은 물론 장기적 성장기반 강화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어려울때 기본에 충실해서 뜻을 이룬다는 성어 ‘견인불발(堅忍不拔)’을 앞세운 뜻은 최대 현안 타개와 즉시에 국내 금융판도를 주도하려는 포석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산은금융지주 강만수 회장은 ‘파이오니아 성장’을 화두로 삼았다. 위기극복과 기회 선점은 한 몸을 이룬다. 개인고객 경쟁력 강화를 거듭해 민영화에 성실히 대비하고 글로벌 성장기반 확대 강력한 기업문화를 과제로 꼽는다.
특히 아시아가 필요로 하는 개발금융과 투자금융 부문의 강점을 극대화 하는 구상을 꾀하고 있어 주목된다. 지주사 전환에 나선다면 오히려 이상적 포트폴리오를 갖춘 기업은행 조준희 행장은 굳건한 토대 위에 추추를 놓고 기둥을 세운 뒤 들보를 얹는다는 축기견초(築基堅礎)의 화두를 세웠다. 선제적 건전성관리, 중소기업 무료컨설팅을 비롯한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우량기업을 적극 수성하고 우량 개인고객 확대에도 주력하는 해로 설정했다.
정희윤 기자 simmo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