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해보험사들은 자동차보험이나 장기보험 원수보험료의 일정 비율을 재보험사의 재보험에 가입(출재)하고 사고 발생시 이에 대한 재보험금을 청구하는데 이를 특약재보험이라고 하며, 1년 주기로 매년 4월 1일 회계연도 개시 시점에서 갱신한다.
16일 재보험업계에 따르면, 일본의 대지진 여파로 국내손보사들의 특약 재보험 갱신요율이 30% 가량 인상될 전망이다. 특약재보험 갱신요율의 경우 향후 임의재보험(주로 기업보험 대형 물건) 갱신 시에도 바로미터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재보험업계 관계자는 “(16일)현재까지 해외 재보험사들의 요율 조정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은 나오고 있지 않지만, 시장에서는 30%인상을 요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며, “요율이 이보다 적게 인상되더라도, 지진·쓰나미 등의 피해는 면책으로 하는 등 조건이 불리해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일본의 지진피해로 우리나라의 보험료가 오를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는 크게 세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재보험 시장 자체의 동북아물건에 대한 거부감 확산이다. 해외 대형 재보험자들의 경우 섹터별로 묶어 판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는 호주, 뉴질랜드에 이어 일본에서까지 막대한 손실을 입은 글로벌 대형 재보험사들의 유동성이 악화돼 재보험시장 자체가 ‘하드마켓’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추가 피해의 가능성이다. 현재로서는 지진·쓰나미나 방사능으로 인한 피해가 국내에 까지 미칠 영향이 많지는 않지만, 리스크의 존재 자체를 부인하기는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특히 지질 전문가들의 예상대로 지진에 이은 대규모 화산 폭발이 발생할 경우, 지난해 4월 발생한 아이슬란드의 에이야프얄라요쿨 화산 폭발과 같이, 일본뿐만 아니라 동북아 전역에 낙진으로 인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리스크가 크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국내에 태풍 매미와, 루사 이후 수년간 대재해가 없었고 일본 보험물건에서 손을 뗀 재보험사들이 한국으로 눈길을 돌리면서, 자연스레 공급이 늘어 요율이 크게 오르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어, 4월 특약재보험 갱신시 재보험사와 원수보험사간 줄다리기가 팽팽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재보험업계 관계자는 “국내 재보험요율이 해외 사고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은 것은 2000년 911사태 때로, 당시 50%가까이 인상됐다”며, “이번에도 그때와 비슷한 ‘하드마켓’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당시에는 우리나라가 미국의 우방국으로 테러 집단의 타깃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주된 이유였다.
한편 국내 손해보험사들은 현재까지 일본 지진으로 인한 보험금 지급액이 없거나 미미한 수준이라고 밝히고 있다. 최광호 기자 ho@fntimes.com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