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은 11일 "우리금융지주의 민영화는 한국 금융의 구조 개편과 미래가 걸려 있는 매우 중대한 사안"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중은행장의 일련의 발언은 한국 금융산업의 앞날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무분별한 언행"이라고 밝혔다.
이어 "특히 금융권 지배구조의 전반적인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이 시점에 구체적인 합병방법과 지배구조를 제시하며 여론을 유도하거나 타 회사 CEO 개인의 실명을 거명하며 용퇴를 운운하는 것은 상도의에 어긋나는 매우 무책임한 언행이자 금융시장에 불필요한 혼란을 야기하는 부적절한 행태"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금융권 지배구조의 전반적인 개선이 요구되는 시점에 구체적인 합병 방법과 지배구조를 제시하며 여론을 유도하는 것은 금융시장에 불필요한 혼란을 야기하는 것"이라고 비판하고 해명과 사과를 요구했다.
앞서 이종휘 우리은행장은 지난 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하나금융과의 합병에 대한 질문에 "우리은행의 기업가치나 고객구성, 맨파워 등이 모두 앞서있기 때문에 (민영화가) 우리은행 중심으로 갈 수밖에 없다"고 말한데 이어 "김승유 회장이 하나금융과 우리금융과 합병을 성사시키고 대승적 차원에서 용퇴하는 것을 하나의 카드로 쓸 수도 있다고 본다"는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성희 기자 bob282@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