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행 관계자는 “내부에서는 이번 종합검사 결과에 모든 관심이 쏠리고 있다”며 “검사결과에 따라 지배구조에도 큰 변화가 올 수 밖에 없는만큼 다들 숨죽이고 결과만을 기다리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번 결과에서 가장 큰 관심사는 강정원 행장의 징계 수위다. 지난 1월 14일부터 2월 10일까지 4주간 진행된 종합검사에서 △카자흐스탄 센터크리디트은행(BCC) 지분 인수 △영화투자에 따른 손실 △커버드본드 관련 손실과 KB 일부 사외이사 전산용역 등에 국민은행과 부적절 거래, 사외이사 임기를 편법으로 연장 등을 중심으로 집중 조사를 벌였다.
종합검사에 앞서 금감원이 국민은행에 지난해 12월 16일부터 일주일간 실시한 사전검사 수검일지 유출 파문과 검사 이후에는 100조원 규모의 분식 회계설이 떠도는 등 내우외환이 끊이지 않았다.
금감원은 KB금융과 국민은행에 대한 종합검사를 토대로 심사하고 있는 가운데 강 행장의 제재 수위도 큰 관심사다. 이르면 5월경 제재 수위가 결정될 것으로 관측하고 있지만 더 늦춰질 가능성이 높다.
금감원 관계자는 “통상 종합검사 이후 제재까지 3~4개월이 걸리지만 검토가 더 필요할 경우에는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법규 위반 사항에 따라 제재수위가 결정되지만 이번 제재 수위 수준이 문책 이상이나 직무정지 등의 중징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만약 강 행장이 중징계를 받게 될 경우 10월말까지 보장된 임기를 채울 수 있을지 여부도 미지수다.
은행 관계자는 “강 행장이 KB금융 회장 내정자직을 사퇴한 이후 KB금융 CEO자리의 공석으로 올해 추진해야 할 사업들이 현재 올스톱”이라며 “산더미처럼 밀려있는 현안들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조직안정이 급선무”라고 말했다.
김성희 기자 bob282@fntimes.com